About: Wang Gen

An Entity of Type: person, from Named Graph: http://dbpedia.org, within Data Space: dbpedia.org

Wang Gen (Wang Ken Chinese: 王艮; pinyin: Wáng Gěn), (20 July 1483 – 2 January 1541) was a Ming dynasty Neo-Confucian philosopher who popularized the teachings of Wang Yangming. Wang was the founder of the Taizhou School (simplified Chinese: 泰州学派; traditional Chinese: 泰州學派; pinyin: Tàizhōu xuépài).

Property Value
dbo:abstract
  • Wang Ken (čínsky pchin-jinem Wáng Gěn, znaky 王艮; 1483–1541) byl neokonfuciánský filozof v mingské Číně. (cs)
  • Wang Gen (王艮 ; pinyin Wáng Gěn) (1483-1541) est un penseur de la période de la dynastie Ming, fondateur de l'« école de Taizhou ». (fr)
  • Wang Gen (Wang Ken Chinese: 王艮; pinyin: Wáng Gěn), (20 July 1483 – 2 January 1541) was a Ming dynasty Neo-Confucian philosopher who popularized the teachings of Wang Yangming. Wang was the founder of the Taizhou School (simplified Chinese: 泰州学派; traditional Chinese: 泰州學派; pinyin: Tàizhōu xuépài). (en)
  • 왕간(王艮, 1483년~1541년)은 중국 명나라의 양명학 좌파의 사상가이다. 자는 여지(汝止), 호는 심제(心齋)이다. 태주(泰州) 안풍장(安豊場) 출신이며, 태주학파(泰州學派)의 지도자이다. 소년 시절에 집이 가난하여 학업을 마칠 수가 없었으나 25세 때 공자묘(孔子廟)에 참예(參詣) 후로는 《효경》, 《논어》, 《대학》 등을 열심히 읽었다. 38세 때 처음으로 왕양명이 강서 지방에서 양지(良知)의 학(學)을 강론한다는 말을 듣고서 찾아가 그 학문에 크게 감복하여 그 후 제자의 예절을 취하였다. 양명의 사후에 그는 문호를 개방하여 일반 서민을 강학하였다. 그리하여 그가 있는 곳에는 소농·도장·어부·염정·초부(樵夫) 계층의 사람들까지 몰려와서 그 학문을 경청하였다. 그는 실천을 중시하여 학문의 목적은 성인이 되는 것이라고 규정하였다. 양명학 좌파의 왕용계가, 양지는 사람의 마음에 그대로 현성(現成)하고 있다고 말하였는데, 그도 또한 양지는 자연의 천측(天則)이어서 인력으로 안배할 것이 아니라고 하였다. 또 학문은 반드시 먼저 자기 자신으로부터 시작해야 할 것을 설명하였다. 자기를 바르게 하고 그 다음에 물(物)이 바르게 되고 자기 자신이 바르게 된 후에 비로소 천하가 거기에 귀일한다고 하며 특색있는 〈격물설〉(格物說)을 전개하였다. (ko)
  • 王 艮(おう こん、1483年(成化19年) - 1541年(嘉靖20年))は、中国明代の思想家。字は汝止、号は心斎。もとの名は銀。揚州府泰州安豊場の出身。 (ja)
  • 王艮(1483年7月20日-1541年1月2日),原名王銀,字汝止,号心斋,明朝泰州安丰场(今江苏东台安丰)人,人稱王泰州。思想家王陽明弟子,泰州学派創始人。 (zh)
dbo:wikiPageID
  • 42653313 (xsd:integer)
dbo:wikiPageLength
  • 1252 (xsd:nonNegativeInteger)
dbo:wikiPageRevisionID
  • 1030183022 (xsd:integer)
dbo:wikiPageWikiLink
dbp:altname
dbp:c
  • 王艮 (初名“银”,王守仁为其改名“艮”) (en)
  • 心斎 (en)
  • 汝止 (en)
dbp:p
  • Rǔ Zhǐ (en)
  • Tàizhōu xuépài (en)
  • Wáng Gěn (en)
  • Wáng Yín (en)
  • Xīn Zhāi (en)
dbp:s
  • 泰州学派 (en)
  • 王艮 (en)
dbp:t
  • 泰州學派 (en)
dbp:wikiPageUsesTemplate
dcterms:subject
gold:hypernym
schema:sameAs
rdf:type
rdfs:comment
  • Wang Ken (čínsky pchin-jinem Wáng Gěn, znaky 王艮; 1483–1541) byl neokonfuciánský filozof v mingské Číně. (cs)
  • Wang Gen (王艮 ; pinyin Wáng Gěn) (1483-1541) est un penseur de la période de la dynastie Ming, fondateur de l'« école de Taizhou ». (fr)
  • Wang Gen (Wang Ken Chinese: 王艮; pinyin: Wáng Gěn), (20 July 1483 – 2 January 1541) was a Ming dynasty Neo-Confucian philosopher who popularized the teachings of Wang Yangming. Wang was the founder of the Taizhou School (simplified Chinese: 泰州学派; traditional Chinese: 泰州學派; pinyin: Tàizhōu xuépài). (en)
  • 왕간(王艮, 1483년~1541년)은 중국 명나라의 양명학 좌파의 사상가이다. 자는 여지(汝止), 호는 심제(心齋)이다. 태주(泰州) 안풍장(安豊場) 출신이며, 태주학파(泰州學派)의 지도자이다. 소년 시절에 집이 가난하여 학업을 마칠 수가 없었으나 25세 때 공자묘(孔子廟)에 참예(參詣) 후로는 《효경》, 《논어》, 《대학》 등을 열심히 읽었다. 38세 때 처음으로 왕양명이 강서 지방에서 양지(良知)의 학(學)을 강론한다는 말을 듣고서 찾아가 그 학문에 크게 감복하여 그 후 제자의 예절을 취하였다. 양명의 사후에 그는 문호를 개방하여 일반 서민을 강학하였다. 그리하여 그가 있는 곳에는 소농·도장·어부·염정·초부(樵夫) 계층의 사람들까지 몰려와서 그 학문을 경청하였다. 그는 실천을 중시하여 학문의 목적은 성인이 되는 것이라고 규정하였다. 양명학 좌파의 왕용계가, 양지는 사람의 마음에 그대로 현성(現成)하고 있다고 말하였는데, 그도 또한 양지는 자연의 천측(天則)이어서 인력으로 안배할 것이 아니라고 하였다. 또 학문은 반드시 먼저 자기 자신으로부터 시작해야 할 것을 설명하였다. 자기를 바르게 하고 그 다음에 물(物)이 바르게 되고 자기 자신이 바르게 된 후에 비로소 천하가 거기에 귀일한다고 하며 특색있는 〈격물설〉(格物說)을 전개하였다. (ko)
  • 王 艮(おう こん、1483年(成化19年) - 1541年(嘉靖20年))は、中国明代の思想家。字は汝止、号は心斎。もとの名は銀。揚州府泰州安豊場の出身。 (ja)
  • 王艮(1483年7月20日-1541年1月2日),原名王銀,字汝止,号心斋,明朝泰州安丰场(今江苏东台安丰)人,人稱王泰州。思想家王陽明弟子,泰州学派創始人。 (zh)
rdfs:label
  • Wang Ken (cs)
  • Wang Gen (fr)
  • 王艮 (ja)
  • 왕간 (ko)
  • Wang Gen (en)
  • 王艮 (泰州) (zh)
owl:sameAs
prov:wasDerivedFrom
foaf:isPrimaryTopicOf
is dbo:wikiPageWikiLink of
is foaf:primaryTopic of
Powered by OpenLink Virtuoso    This material is Open Knowledge     W3C Semantic Web Technology     This material is Open Knowledge    Valid XHTML + RDFa
This content was extracted from Wikipedia and is licensed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ShareAlike 3.0 Unported Licen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