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ntity of Type: Writing106362953, from Named Graph: http://dbpedia.org, within Data Space: dbpedia.org

The Humane King Sutra (Chinese: 仁王經; pinyin: rén wáng jīng; Japanese: 仁王経; rōmaji: Ninnō-gyō; Korean: 인왕경; romaja: inwang-gyeong; Vietnamese: Kinh Hộ Quốc) is found in Taisho No. 245 and 246. Many scholars have suspected this sutra to be composed in China but not all scholars agree with this viewpoint. There are two versions: the first is called the Humane King Perfection of Wisdom Sutra (仁王般若波羅蜜經), while the second is called the Humane King State-Protection Perfection of Wisdom Sutra (仁王護國般若波羅蜜經), more idiomatically the Prajnaparamita Scripture for Humane Kings Who Wish to Protect their States. Both sutras are found in the prajnaparamita section of the Taisho Tripitaka.

Property Value
dbo:abstract
  • The Humane King Sutra (Chinese: 仁王經; pinyin: rén wáng jīng; Japanese: 仁王経; rōmaji: Ninnō-gyō; Korean: 인왕경; romaja: inwang-gyeong; Vietnamese: Kinh Hộ Quốc) is found in Taisho No. 245 and 246. Many scholars have suspected this sutra to be composed in China but not all scholars agree with this viewpoint. There are two versions: the first is called the Humane King Perfection of Wisdom Sutra (仁王般若波羅蜜經), while the second is called the Humane King State-Protection Perfection of Wisdom Sutra (仁王護國般若波羅蜜經), more idiomatically the Prajnaparamita Scripture for Humane Kings Who Wish to Protect their States. Both sutras are found in the prajnaparamita section of the Taisho Tripitaka. This sutra is unusual in the fact that its target audience, rather than being either lay practitioners or the community of monks and nuns, is the rulership (i.e. monarchs, presidents, prime ministers, etc.). Thus, for example, where the interlocutors in most scriptures are arhats or bodhisattvas, the discussants in this text are the kings of the sixteen ancient regions of India. The foregrounded teachings, rather than being meditation and wisdom, are "humaneness" and "forbearance" or "ksanti", these being the most applicable religious values for the governance of a Buddhist state. Hence today in some Chinese temples, the sutra is used during prayers on behalf of the government and the country. A second translation from a Sanskrit text was carried out a few centuries after the appearance of the original version, by the monk Amoghavajra (Bukong 不空), one of the most important figures in the Chinese Esoteric tradition, as well as a patriarch in the Shingon school of Japan. This second version of the text (仁王護國般若波羅蜜經, T 246.8.834-845) is similar to the original version (仁王般若波羅蜜經, T 245.8.825-834), the translation of which was attributed to Kumārajīva, but it contains new sections that include teachings on mandala, mantra, and dhāraṇī. (en)
  • 『仁王経』(にんのうぎょう、にんのうきょう)は、大乗仏教における経典のひとつ。『仁王般若経』とも称される。なお、この経典は仏教における国王のあり方について述べた経典であり、天部に分類される仁王(=二王:仁王尊)について述べた経典ではない。 (ja)
  • 《인왕경(仁王經)》은 동일한 원본의 두 가지 한역 경전인 《불설인왕반야바라밀경(佛說仁王般若波羅蜜經)》(K.19, T.245)와 《인왕호국반야바라밀다경(仁王護國般若波羅蜜多經)》(K.1340, T.246)의 약칭이다. 또한 두 경전은 모두 《인왕반야경(仁王般若經)》 또는 《인왕호국경(仁王護國經)》이라고도 약칭한다. 전자는 후진(後秦) 시대에 구마라습(鸠摩罗什: 344~413)이 번역한 것이며 하며 후자는 당나라 시대인 765년에 불공(不空: 705~774)이 번역한 것이다. 두 경전은 번역 용어에서 차이가 있을 뿐 내용상으로는 차이가 없다. 16대국 가운데 사위국(舍衛國,산스크리트어: Srāvastī,팔리어: Sāvatthī)의 왕인 (波斯匿王, 산스크리트어: Prasenajit, 팔리어: Pasenadi)이 16대국의 왕들이 자신들이 다스리고 있는 나라를 보호하고 편안케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 지를 여러 거사와 고타마 붓다의 직제자들과 보살들에게 묻고 다녔는데 아무도 답을 하지 못하고, 마침내 고타마 붓다가 그 물음에 답하여 설법한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고타마 붓다는 의 호국에 대한 물음에 바로 답하지 않고 먼저 보살들 즉 대승불교의 수행자를 위하여 불과(佛果)를 수호하는 인연(因緣) 즉 직접적 · 간접적 원인과 10지(十地)를 원만히 성취하는 인연에 대해 설한다. 그런 후 16대국의 왕들이 그 나라를 보호하고 편안게 하기 위해서는 반야바라밀을 수지(受持)하여야 한다고 설하고 있다. 《인왕경》에서 고타마 붓다는 반야바라밀을 수지(受持)하는 것 즉 반야바라밀을 닦는 것이란 (伏忍) · (信忍) · (順忍) · (無生忍) · (寂滅忍)의 (五忍)을 수행하는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은 10신 · 10주 · 10행 · 10회향 · 10지 · 묘각의 의 보살 수행계위 또는 10신 · 10주 · 10행 · 10회향 · 10지 · 등각 · 묘각의 52위의 보살 수행계위에서 최초의 10신을 제외한 나머지 상위의 41위 또는 (즉 42현성)를 인(忍) 즉 지혜의 측면에서 5가지 그룹으로 재분류한 것이다. 그리고 은 에서는 제10지와 묘각에, 52위에서는 제10지 · 등각 · 묘각에 해당한다. 전통적으로 《인왕경》은 《법화경(法華經)》《(金光明經)》과 더불어 (護國三部經)이라 불린다. (ko)
  • 《仁王護國經》,又稱《仁王護國般若波羅蜜經》、《仁王問般若波羅蜜經》、《仁王問般若波羅蜜經》、《仁王般若經》等,是法華宗崇尚的護國三經之一。 (zh)
dbo:wikiPageExternalLink
dbo:wikiPageID
  • 21747261 (xsd:integer)
dbo:wikiPageLength
  • 6600 (xsd:nonNegativeInteger)
dbo:wikiPageRevisionID
  • 1096241969 (xsd:integer)
dbo:wikiPageWikiLink
dbp:c
  • 仁王經 (en)
dbp:j
  • 仁王経 (en)
dbp:k
  • 인왕경 (en)
dbp:p
  • rén wáng jīng (en)
dbp:r
  • Ninnō-gyō (en)
dbp:rr
  • inwang-gyeong (en)
dbp:v
  • Kinh Hộ Quốc (en)
dbp:wikiPageUsesTemplate
dcterms:subject
rdf:type
rdfs:comment
  • 『仁王経』(にんのうぎょう、にんのうきょう)は、大乗仏教における経典のひとつ。『仁王般若経』とも称される。なお、この経典は仏教における国王のあり方について述べた経典であり、天部に分類される仁王(=二王:仁王尊)について述べた経典ではない。 (ja)
  • 《仁王護國經》,又稱《仁王護國般若波羅蜜經》、《仁王問般若波羅蜜經》、《仁王問般若波羅蜜經》、《仁王般若經》等,是法華宗崇尚的護國三經之一。 (zh)
  • The Humane King Sutra (Chinese: 仁王經; pinyin: rén wáng jīng; Japanese: 仁王経; rōmaji: Ninnō-gyō; Korean: 인왕경; romaja: inwang-gyeong; Vietnamese: Kinh Hộ Quốc) is found in Taisho No. 245 and 246. Many scholars have suspected this sutra to be composed in China but not all scholars agree with this viewpoint. There are two versions: the first is called the Humane King Perfection of Wisdom Sutra (仁王般若波羅蜜經), while the second is called the Humane King State-Protection Perfection of Wisdom Sutra (仁王護國般若波羅蜜經), more idiomatically the Prajnaparamita Scripture for Humane Kings Who Wish to Protect their States. Both sutras are found in the prajnaparamita section of the Taisho Tripitaka. (en)
  • 《인왕경(仁王經)》은 동일한 원본의 두 가지 한역 경전인 《불설인왕반야바라밀경(佛說仁王般若波羅蜜經)》(K.19, T.245)와 《인왕호국반야바라밀다경(仁王護國般若波羅蜜多經)》(K.1340, T.246)의 약칭이다. 또한 두 경전은 모두 《인왕반야경(仁王般若經)》 또는 《인왕호국경(仁王護國經)》이라고도 약칭한다. 전자는 후진(後秦) 시대에 구마라습(鸠摩罗什: 344~413)이 번역한 것이며 하며 후자는 당나라 시대인 765년에 불공(不空: 705~774)이 번역한 것이다. 두 경전은 번역 용어에서 차이가 있을 뿐 내용상으로는 차이가 없다. 전통적으로 《인왕경》은 《법화경(法華經)》《(金光明經)》과 더불어 (護國三部經)이라 불린다. (ko)
rdfs:label
  • Humane King Sutra (en)
  • 인왕경 (ko)
  • 仁王経 (ja)
  • 仁王护国经 (zh)
owl:sameAs
prov:wasDerivedFrom
foaf:isPrimaryTopicOf
is dbo:wikiPageRedirects of
is dbo:wikiPageWikiLink of
is foaf:primaryTopic of
Powered by OpenLink Virtuoso    This material is Open Knowledge     W3C Semantic Web Technology     This material is Open Knowledge    Valid XHTML + RDFa
This content was extracted from Wikipedia and is licensed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ShareAlike 3.0 Unported Licen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