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o:abstract
|
- The Kaidu–Kublai war was a war between Kaidu and Kublai (and his successor Temür) from 1268 to 1301. Kaidu was the leader of the House of Ögedei and the de facto khan of the Chagatai Khanate, while Kublai was the founder of the Yuan dynasty. The Kaidu–Kublai war followed the Toluid Civil War (1260–1264) and resulted in the permanent division of the Mongol Empire. By the time of Kublai's death in 1294, the Mongol Empire had fractured into four separate polities: the Golden Horde khanate in the northwest, the Chagatai Khanate in the middle, the Ilkhanate in the southwest, and the Yuan dynasty in the east based in modern-day Beijing. Although Temür later made peace with the three western khanates in 1304 after Kaidu's death, the four successor states of the Mongol Empire continued their own separate development and fell at different times. (en)
- La guerre entre Qaïdu et Kubilai est un conflit entre d'une part Qaïdu, le chef de la Maison Ögedei et Khan de facto du Khanat de Djaghataï et d'autre part Kubilai Khan, le fondateur de la Dynastie Yuan, en Chine. Le conflit, qui dure de 1268 à 1301, continue après la mort de Kubilai, Témur Khan, son petit-fils et successeur, continuant de se battre. Cette guerre fait suite à la Guerre civile toluid (1260–1264) et s'achéve par la Division de l'Empire mongol. Lorsque Kubilai meurt en 1294, l'Empire mongol et, de fait, divisé en quatre khanats/empires: La Horde d'or au nord-ouest, le Khanat de Djaghataï au centre, l'Ilkhanat au sud-ouest et la Dynastie Yuan à l'est. Même si Témur Khan finit par faire la paix avec les trois Khanats occidentaux en 1304, après la mort de Kaidu, les quatre khanats ont poursuivi leur propre développement et ont disparu à des moments différents. (fr)
- 쿠빌라이-카이두 전쟁은 1266년부터 1301년까지 오고타이 한국의 칸 카이두 칸이 원나라 황제 쿠빌라이 카안을 상대로 벌인 전쟁이다. 카이두 칸은 자신을 몽골 제국의 대칸으로 선언하고, 원나라 황제이자 몽골 제국의 대칸 쿠빌라이를 공격, 카라코룸 점령을 시도했다. 원나라의 입장에서는 카이두의 반란으로, 한국에서는 2000년대까지 세계사, 동아시아사에 이 전쟁을 카이두의 난으로 표기하였다. 1264년 7월 아리크부카 측이 쿠빌라이에게 패배한 후, 오고타이 울루스의 카이두 칸은 일리 강변과 , 주변에 지지자들을 모아 쿠빌라이 칸의 정책에 반대, 아리크 부카가 갑자기 죽자 그의 계승을 선언하고 1264년에서 1268년까지 군대를 동원하였다. 1268년~1269년에 그는 쿠빌라이 칸에 항복한 의 아들 바라크 칸과 싸웠고, 마침내 1269년 탈라스 쿠랄에서 차가타이 한국의 서부에 있는 돌룬 골 계곡을 점령했습니다. 1270년에 카이두는 차가타이 한국의 바라크 칸과 일 한국의 땅을 침략하여 패배시켰다. 1270년부터 하이두의 지지자들은 차가타이 한국을 사실상 장악하고 원나라에 대한 투쟁을 계속해 나갔다. 1270년에서 1301년 사이에 카이두와 원 왕조 사이에 큰 전쟁이 발생했고, 이는 쿠빌라이 카안이 죽은 뒤에도 계속되었다. 1301년 카이두는 테무르 칸과 카이두의 전쟁 중 퀼리그 칸 카이산의 기습공격으로 부상당해 그 후유증으로 사망했다. 1304년에 오고타이 한국의 항복 및 형식적인 종주권 인정을 했으나, 이후 사실상 독자적인 길을 가게 되었다. 카이두-쿠빌라이 칸의 오랜 전쟁으로 중국에서 중앙아시아를 거쳐 유럽, 중근동으로 가는 역참과 무역로는 대부분 폐쇄되었고, 원나라와 서방의 경제, 문화 교류는 차단되었다. (ko)
|
dbo:combatant
|
- 23pxChagatai Khanate
- Yuan dynasty
- 23pxGolden Horde(ally of Kaidu until 1284)
- 23pxHouse of Ögedei
- 23pxIlkhanate(ally of Kublai)
|
dbo:commander
| |
dbo:isPartOfMilitaryConflict
| |
dbo:place
| |
dbo:result
|
- Inconclusive
- Decline of theOgedeids
- Fragmentation of the Mongol Empire
|
dbo:thumbnail
| |
dbo:wikiPageID
| |
dbo:wikiPageLength
|
- 9808 (xsd:nonNegativeInteger)
|
dbo:wikiPageRevisionID
| |
dbo:wikiPageWikiLink
| |
dbp:combatant
| |
dbp:commander
| |
dbp:conflict
| |
dbp:date
| |
dbp:partof
|
- the Division of the Mongol Empire (en)
|
dbp:place
|
- Present-day China, Mongolia, Central Asia, Western Asia, Russia (en)
|
dbp:result
| |
dbp:wikiPageUsesTemplate
| |
dcterms:subject
| |
rdf:type
| |
rdfs:comment
|
- The Kaidu–Kublai war was a war between Kaidu and Kublai (and his successor Temür) from 1268 to 1301. Kaidu was the leader of the House of Ögedei and the de facto khan of the Chagatai Khanate, while Kublai was the founder of the Yuan dynasty. The Kaidu–Kublai war followed the Toluid Civil War (1260–1264) and resulted in the permanent division of the Mongol Empire. By the time of Kublai's death in 1294, the Mongol Empire had fractured into four separate polities: the Golden Horde khanate in the northwest, the Chagatai Khanate in the middle, the Ilkhanate in the southwest, and the Yuan dynasty in the east based in modern-day Beijing. Although Temür later made peace with the three western khanates in 1304 after Kaidu's death, the four successor states of the Mongol Empire continued their own s (en)
- La guerre entre Qaïdu et Kubilai est un conflit entre d'une part Qaïdu, le chef de la Maison Ögedei et Khan de facto du Khanat de Djaghataï et d'autre part Kubilai Khan, le fondateur de la Dynastie Yuan, en Chine. Le conflit, qui dure de 1268 à 1301, continue après la mort de Kubilai, Témur Khan, son petit-fils et successeur, continuant de se battre. Cette guerre fait suite à la Guerre civile toluid (1260–1264) et s'achéve par la Division de l'Empire mongol. Lorsque Kubilai meurt en 1294, l'Empire mongol et, de fait, divisé en quatre khanats/empires: La Horde d'or au nord-ouest, le Khanat de Djaghataï au centre, l'Ilkhanat au sud-ouest et la Dynastie Yuan à l'est. Même si Témur Khan finit par faire la paix avec les trois Khanats occidentaux en 1304, après la mort de Kaidu, les quatre khana (fr)
- 쿠빌라이-카이두 전쟁은 1266년부터 1301년까지 오고타이 한국의 칸 카이두 칸이 원나라 황제 쿠빌라이 카안을 상대로 벌인 전쟁이다. 카이두 칸은 자신을 몽골 제국의 대칸으로 선언하고, 원나라 황제이자 몽골 제국의 대칸 쿠빌라이를 공격, 카라코룸 점령을 시도했다. 원나라의 입장에서는 카이두의 반란으로, 한국에서는 2000년대까지 세계사, 동아시아사에 이 전쟁을 카이두의 난으로 표기하였다. 1301년 카이두는 테무르 칸과 카이두의 전쟁 중 퀼리그 칸 카이산의 기습공격으로 부상당해 그 후유증으로 사망했다. 1304년에 오고타이 한국의 항복 및 형식적인 종주권 인정을 했으나, 이후 사실상 독자적인 길을 가게 되었다. 카이두-쿠빌라이 칸의 오랜 전쟁으로 중국에서 중앙아시아를 거쳐 유럽, 중근동으로 가는 역참과 무역로는 대부분 폐쇄되었고, 원나라와 서방의 경제, 문화 교류는 차단되었다. (ko)
|
rdfs:label
|
- Guerre entre Qaïdu et Kubilai (fr)
- Kaidu–Kublai war (en)
- 쿠빌라이-카이두 전쟁 (ko)
|
owl:sameAs
| |
prov:wasDerivedFrom
| |
foaf:depiction
| |
foaf:isPrimaryTopicOf
| |
foaf:name
| |
is dbo:isPartOfMilitaryConflict
of | |
is dbo:wikiPageRedirects
of | |
is dbo:wikiPageWikiLink
of | |
is rdfs:seeAlso
of | |
is foaf:primaryTopic
of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