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o:abstract
|
- Das Taixuanjing (chinesisch 太玄經 / 太玄经, Pinyin tài xuán jīng, W.-G. T'ai-hsüan ching, englisch Canon of Supreme Mystery), im Chinesischen neben weiteren Titeln meist kurz als Taixuan (太玄 – „Das Große Geheimnisvolle“) bezeichnet, ist ein synkretistisches Werk des konfuzianischen Autors Yang Xiong (扬雄, Yáng Xióng, Yang Hsiung, * 53 v. Chr.; † 18) aus der Zeit der Han-Dynastie. Das Werk ist im Daoistischen Kanon enthalten. Von dem berühmten Staatsmann und Historiker Sima Guang aus der Zeit der Song-Dynastie stammt ein berühmter Kommentar. Die Buchreihe Sibu congkan enthält eine fotografische Reproduktion einer in der Zeit der Ming-Dynastie aus der (万玉堂, wàn yù táng)-Sammlung übertragenen Song-Ausgabe. (de)
- The text Tài Xuán Jīng ("Canon of Supreme Mystery", Chinese: 太玄經) is a guide for divination composed by the Confucian writer Yang Xiong (53 BCE – 18 CE). The first draft of this work was completed in 2 BCE (in the decade before the fall of the Western Han dynasty). During the Jin dynasty, an otherwise unknown person named Fan Wang (Chinese: 范望) salvaged the text and wrote a commentary on it, from which our text survives today. The Taixuanjing is a divinatory text similar to, and inspired by, the I Ching (Yijing). Whereas the I Ching is based on 64 binary hexagrams (sequences of six horizontal lines each of which may be broken or unbroken), the Taixuanjing employs 81 ternary tetragrams (sequences of four lines, each of which may be unbroken, broken once, or broken twice). Like the I Ching it may be consulted as an oracle by casting yarrow stalks or a six-faced die to generate numbers which define the lines of a tetragram, which can then be looked up in the text.A tetragram drawn without moving lines refers to the tetragram description, while a tetragram drawn with moving lines refers to the specific lines. The monograms are:
* the unbroken line ( ⚊) for heaven (Chinese: 天; pinyin: tiān),
* once broken line ( ⚋) for earth (Chinese: 地; pinyin: dì),
* twice broken line ( 𝌀) for man (Chinese: 人; pinyin: rén). Numerically the symbols can be counted as ⚊ = 0, ⚋ = 1, 𝌀 = 2, and grouped into sets of four to count from 0 to 80. This is clearly intentional as this passage from chapter 8 of the Tài Xuán Jīng points out the principle of carrying and place value. (en)
- 《태현경》(太玄經)은 양웅(楊雄)의 주저(主著)이다. 현(玄)이라는 것은 우주를 통일하는 감각되지 않는 본체(本體)이고, 태(太)는 그 현에 대한 미칭(美稱)이다. 한대의 역학(易學)은 음양2기(陰陽二氣)의 결합운동을 상징적인 형상의 변화로 표시하였으나, 이 책에서는 다시 도가의 도(道=우주의 본체)의 관념을 빌어서 현(玄)이라고 이름한 다음 그것을 2기(二氣)의 통일체로 상정하였다. 이 현(玄)이 만물로 전개해 가는 양상을 세 가지의 상징적인 부호(符號-易에서는 2종류)의 조합과 난해한 찬(贊)(解說文)으로 표현하려 하였는데 다분히 《역(易)》과 《역전(易傳)》의 형식을 모방한 것이다. 사상적으로는 《역전(易傳)》의 음양설과 《노자(老子)》의 천도관(天道觀)에 기본하여 세계의 형성과 변화를 체계화하였다. 현리편에 의하면, 현(玄)은 음양2기(陰陽二氣)가 혼돈된 분화되지 않은 것의 총체이며, 그것은 2기(二氣)의 결합운동의 전규율(全規律) 그 자체로서 만물 속에 존재하여 상호간을 연계하는 작용을 갖고 있다. 그것은 지(智)·인(仁)·용(勇)·공(公)·통(通)·성(聖)·명(命) 등이라고 하는 한정된 작용을 '명명(冥冥)한 속에' 눈에 보이지 않으면서 통합시키고 있는 것이다. 이 사상이야말로 대체로 범신론적(汎神論的)인 세계관에 가깝다고 하겠다. 또 현형편(玄瑩篇)에서는 선진시대(先秦時代)의 도가사상(道家思想)에 있던 '자연에 인순(因循)' 하는 생각을 발전시켜 객관적 정황을 중시하고 주관적 해석을 피하도록 힘쓰고 있다. 이것은 그의 천문이나 역(曆)의 지식의 결과라 하겠다. 그 때문에 이 책은 당시의 정통사상이었던 신비주의적 세계관이나 예언(豫言), 참위설 (讖緯說)에 반대한 후한(後漢)의 환담(桓譚), 왕충(王充), 장형(張衡) 등으로부터 호평을 받았다. 한편 이것은 6조(六朝)의 도가사상의 선구라고도 평가되고 있다.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ko)
- 『太玄経』(たいげんきょう)または『太玄』は、前漢末の揚雄の撰述による『易経』に似た書物。易が陰陽の二爻を6つ重ねた六十四卦によるのに対し、天地人の三才を4つ重ねた八十一首から構成される。 (ja)
- 《太玄》,又称《太玄经》、《扬子太玄经》或《玄经》,是西汉学者扬雄的一部著作,用来阐述他的哲学体系和宇宙论。《四库全书》中为避康熙皇帝的名讳,改称其为《太元经》。《新唐书·艺文志》作十二卷,《文献通考》作十卷。 《太玄》糅合了儒家、道家和阴阳家的学说。其首先从《老子》“玄之又玄”中概括出“玄”的概念,以玄为中心,按天地人三道的分类建立了一个形而上学体系。《太玄》认为一切事物从发展到旺盛到消亡都可分成九个阶段。 唐朝诗人李白的《侠客行》最后一句“白首太玄经”,即指此书。 (zh)
|
dbo:thumbnail
| |
dbo:wikiPageExternalLink
| |
dbo:wikiPageID
| |
dbo:wikiPageLength
|
- 7430 (xsd:nonNegativeInteger)
|
dbo:wikiPageRevisionID
| |
dbo:wikiPageWikiLink
| |
dbp:_
| |
dbp:blockname
|
- Tai Xuan Jing Symbols (en)
|
dbp:c
| |
dbp:date
| |
dbp:group
| |
dbp:hangul
| |
dbp:hiragana
| |
dbp:j
| |
dbp:kyujitai
| |
dbp:l
|
- "Classic of Supreme Mystery" (en)
|
dbp:p
|
- tiān (en)
- dì (en)
- rén (en)
- Tàixuánjīng (en)
|
dbp:rangeend
| |
dbp:rangestart
| |
dbp:reason
|
- What is a 'moving' line? Is there a non-moving or staic line also? (en)
|
dbp:rr
| |
dbp:s
| |
dbp:script
| |
dbp:shinjitai
| |
dbp:showflag
| |
dbp:symbols
| |
dbp:t
| |
dbp:title
|
- Canon of Supreme Mystery (en)
- Tai Xuan Jing (en)
|
dbp:w
| |
dbp:wikiPageUsesTemplate
| |
dcterms:subject
| |
rdf:type
| |
rdfs:comment
|
- 『太玄経』(たいげんきょう)または『太玄』は、前漢末の揚雄の撰述による『易経』に似た書物。易が陰陽の二爻を6つ重ねた六十四卦によるのに対し、天地人の三才を4つ重ねた八十一首から構成される。 (ja)
- 《太玄》,又称《太玄经》、《扬子太玄经》或《玄经》,是西汉学者扬雄的一部著作,用来阐述他的哲学体系和宇宙论。《四库全书》中为避康熙皇帝的名讳,改称其为《太元经》。《新唐书·艺文志》作十二卷,《文献通考》作十卷。 《太玄》糅合了儒家、道家和阴阳家的学说。其首先从《老子》“玄之又玄”中概括出“玄”的概念,以玄为中心,按天地人三道的分类建立了一个形而上学体系。《太玄》认为一切事物从发展到旺盛到消亡都可分成九个阶段。 唐朝诗人李白的《侠客行》最后一句“白首太玄经”,即指此书。 (zh)
- Das Taixuanjing (chinesisch 太玄經 / 太玄经, Pinyin tài xuán jīng, W.-G. T'ai-hsüan ching, englisch Canon of Supreme Mystery), im Chinesischen neben weiteren Titeln meist kurz als Taixuan (太玄 – „Das Große Geheimnisvolle“) bezeichnet, ist ein synkretistisches Werk des konfuzianischen Autors Yang Xiong (扬雄, Yáng Xióng, Yang Hsiung, * 53 v. Chr.; † 18) aus der Zeit der Han-Dynastie. (de)
- The text Tài Xuán Jīng ("Canon of Supreme Mystery", Chinese: 太玄經) is a guide for divination composed by the Confucian writer Yang Xiong (53 BCE – 18 CE). The first draft of this work was completed in 2 BCE (in the decade before the fall of the Western Han dynasty). During the Jin dynasty, an otherwise unknown person named Fan Wang (Chinese: 范望) salvaged the text and wrote a commentary on it, from which our text survives today. The monograms are: (en)
- 《태현경》(太玄經)은 양웅(楊雄)의 주저(主著)이다. 현(玄)이라는 것은 우주를 통일하는 감각되지 않는 본체(本體)이고, 태(太)는 그 현에 대한 미칭(美稱)이다. 한대의 역학(易學)은 음양2기(陰陽二氣)의 결합운동을 상징적인 형상의 변화로 표시하였으나, 이 책에서는 다시 도가의 도(道=우주의 본체)의 관념을 빌어서 현(玄)이라고 이름한 다음 그것을 2기(二氣)의 통일체로 상정하였다. 이 현(玄)이 만물로 전개해 가는 양상을 세 가지의 상징적인 부호(符號-易에서는 2종류)의 조합과 난해한 찬(贊)(解說文)으로 표현하려 하였는데 다분히 《역(易)》과 《역전(易傳)》의 형식을 모방한 것이다. 사상적으로는 《역전(易傳)》의 음양설과 《노자(老子)》의 천도관(天道觀)에 기본하여 세계의 형성과 변화를 체계화하였다. 현리편에 의하면, 현(玄)은 음양2기(陰陽二氣)가 혼돈된 분화되지 않은 것의 총체이며, 그것은 2기(二氣)의 결합운동의 전규율(全規律) 그 자체로서 만물 속에 존재하여 상호간을 연계하는 작용을 갖고 있다. 그것은 지(智)·인(仁)·용(勇)·공(公)·통(通)·성(聖)·명(命) 등이라고 하는 한정된 작용을 '명명(冥冥)한 속에' 눈에 보이지 않으면서 통합시키고 있는 것이다. 이 사상이야말로 대체로 범신론적(汎神論的)인 세계관에 가깝다고 하겠다. 또 현형편(玄瑩篇)에서는 선진시대(先秦時代)의 도가사상(道家思想)에 있던 '자연에 인순(因循)' 하는 생각을 발전시켜 객관적 정황을 중시하고 주관적 해석을 피하도록 힘쓰고 있다. 이것은 그의 천문이나 역(曆)의 지식의 결과라 하겠다. 그 때문에 이 책은 당시의 정통사상이 (ko)
|
rdfs:label
|
- Taixuanjing (de)
- 太玄経 (ja)
- 태현경 (ko)
- Taixuanjing (en)
- 太玄 (zh)
|
owl:sameAs
| |
prov:wasDerivedFrom
| |
foaf:depiction
| |
foaf:isPrimaryTopicOf
| |
is dbo:wikiPageRedirects
of | |
is dbo:wikiPageWikiLink
of | |
is foaf:primaryTopic
of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