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Ayanāṃśa

An Entity of Type: Thing, from Named Graph: http://dbpedia.org, within Data Space: dbpedia.org:8891

Ayanamsa (ayanāṃśa: from Sanskrit ayana 'movement', and aṃśa 'component'), also ayanabhāga (from Sanskrit bhāga 'portion'), is the Sanskrit term for many systems used in Hindu astrology to account for the precession of equinoxes. There are also systems of ayanamsa used in Western sidereal astrology, such as the Fagan/Bradley Ayanamsa.

Property Value
dbo:abstract
  • Ayanamsa (ayanāṃśa: from Sanskrit ayana 'movement', and aṃśa 'component'), also ayanabhāga (from Sanskrit bhāga 'portion'), is the Sanskrit term for many systems used in Hindu astrology to account for the precession of equinoxes. There are also systems of ayanamsa used in Western sidereal astrology, such as the Fagan/Bradley Ayanamsa. (en)
  • L'Ayanamsa désigne l'écart croissant entre les zodiaques tropical et sidéral. (fr)
  • 아야남사(산스크리트어 ayanāṃśa: 야야나 "이동" + 암사 "요소") 또는 아야나바가(bhāga "부분") 또는 아야남샤는 인도 점성술에 사용되는 세차운동의 양을 뜻하는 산스크리트어 용어이다. 점성술에서, 이것은 회귀황도대(사나야)와 항성황도대(니라야나) 사이의 경도 차이이다. 천문학에서도 이것은 태양(회귀년) 또는 항성(항성년)과 상관하는 한 번의 완전한 궤도로 규정된 회귀년(지구의 365.2422번의 자전)과 항성년(365.2563번의 자전) 차이이다. 위의 서문은 콜브루크와 버제스 등의 주장을 근거로 한 아야남샤의 현대식 정의이다. 고대의 아야남샤에 대한 정의는 분점의 세차운동을 말하지는 않았지만, 고대인들은 기본적으로 항성년에 비한 회귀년의 길이를 측정하기 위하여, 관찰되는 세차운동을 추적하고 있었다. 수리야싯단타(Suryasiddhanta)(3장 910절)는 야야남샤를 최고 +와 - 27도의 범위 안에서의 (현대의 50.3"에 비하여) 연간 54" 의 비율의 성군 원(나크샤트라-차크라 또는 바차크라)의 왕복운동으로 정의한다. 버제스는 나크샤트라-차크라의 진동(trepidation) 개념을 소화하지 못했고, 그 문헌에 늘어난 약간의 오류가 있다고 가정했다. 콜브루크와 같은 전임자들의 주장에 뒤이어, 그는 그러한 가정에 근거하여 아야남샤를 정의하는데 있어서 분점 세차운동의 사용을 주장했다. 그들은 고대의 인도인들이 세차운동을 정확히 측정하는 방법을 몰랐고 그러므로 세차운동의 진동하는 잘못된 개념을 고안했다고 가정했다. 그러나, 싯단타 쉬로마니의 바샤카르 제2장에는 분점 세차운동의 측정을 위한 균차값이 부여되어 있는데, 그의 균차값은 문자알라의 균차를 합산해서 약간 감소한 수리야싯단타의 균차에 근거한다고 한다. (ko)
  • Ajanamsa – Ayanamsha to sanskryckie słowo złożone z dwóch słów: ayana i amsha, gdzie ayana oznacza precesję a amsha wskazuje składnik. W przeciwieństwie do astrologii zachodniej, która jest oparta na tropikalnym zodiaku, wedyjski system astrologii jyotish, czyt: (dźjotisz) bierze pod uwagę gwiezdną (rzeczywistą) pozycję planet. W obecnej chwili różnica w położeniu planet wynosi ok. 24 stopni. Wartość ta zmienia się o ok. 50 sekund na rok. (pl)
dbo:thumbnail
dbo:wikiPageExternalLink
dbo:wikiPageID
  • 3378022 (xsd:integer)
dbo:wikiPageLength
  • 3328 (xsd:nonNegativeInteger)
dbo:wikiPageRevisionID
  • 1124498867 (xsd:integer)
dbo:wikiPageWikiLink
dbp:wikiPageUsesTemplate
dcterms:subject
rdfs:comment
  • Ayanamsa (ayanāṃśa: from Sanskrit ayana 'movement', and aṃśa 'component'), also ayanabhāga (from Sanskrit bhāga 'portion'), is the Sanskrit term for many systems used in Hindu astrology to account for the precession of equinoxes. There are also systems of ayanamsa used in Western sidereal astrology, such as the Fagan/Bradley Ayanamsa. (en)
  • L'Ayanamsa désigne l'écart croissant entre les zodiaques tropical et sidéral. (fr)
  • Ajanamsa – Ayanamsha to sanskryckie słowo złożone z dwóch słów: ayana i amsha, gdzie ayana oznacza precesję a amsha wskazuje składnik. W przeciwieństwie do astrologii zachodniej, która jest oparta na tropikalnym zodiaku, wedyjski system astrologii jyotish, czyt: (dźjotisz) bierze pod uwagę gwiezdną (rzeczywistą) pozycję planet. W obecnej chwili różnica w położeniu planet wynosi ok. 24 stopni. Wartość ta zmienia się o ok. 50 sekund na rok. (pl)
  • 아야남사(산스크리트어 ayanāṃśa: 야야나 "이동" + 암사 "요소") 또는 아야나바가(bhāga "부분") 또는 아야남샤는 인도 점성술에 사용되는 세차운동의 양을 뜻하는 산스크리트어 용어이다. 점성술에서, 이것은 회귀황도대(사나야)와 항성황도대(니라야나) 사이의 경도 차이이다. 천문학에서도 이것은 태양(회귀년) 또는 항성(항성년)과 상관하는 한 번의 완전한 궤도로 규정된 회귀년(지구의 365.2422번의 자전)과 항성년(365.2563번의 자전) 차이이다. (ko)
rdfs:label
  • Ayanāṃśa (en)
  • Ayanamsa (fr)
  • 아야남사 (ko)
  • Ajanamsa (pl)
owl:sameAs
prov:wasDerivedFrom
foaf:depiction
foaf:isPrimaryTopicOf
is dbo:wikiPageRedirects of
is dbo:wikiPageWikiLink of
is foaf:primaryTopic of
Powered by OpenLink Virtuoso    This material is Open Knowledge     W3C Semantic Web Technology     This material is Open Knowledge    Valid XHTML + RDFa
This content was extracted from Wikipedia and is licensed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ShareAlike 3.0 Unported Licen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