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o:abstract
|
- Basic Fault Theory was proposed by Michael Balint, and alludes to an individual's inability to form healthy relationships due to unresolved dependency issues from early childhood in relation to the formation of object reactions in an effort to deal with a lack of adjustment between their psychological needs and the lack or negative care provided by someone close to them. A crucial aspect of the theory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octor and patient. As this is where the doctor could either make the issue of their basic fault worse, or help the individual get rid of it. Balint suggests that the doctor needs to perform “psychological mothering”, and act almost to re-establish a care relationship for the patient since that is what they most likely were lacking from childhood. (en)
- 기본적 결함 이론(Basic Fault Theory) 혹은 기저 결손 혹은 기본적 오류는 마이클 발린트(Michael Balint)가 창안하였다. 대상관계(objec relations) 형성과 관련하여, 유년기 초기부터 미해결된 의존(dependency) 문제로 인하여 건강한 관계를 형성하지 못하는 것과 관련되어 있다. 개인이 가지고 있는 심리적인 욕구와, 이에 대응하여 가까운 사람으로부터 돌봄받지 못하였거나 부정적인 돌봄을 받은 것 사이에서 발생한 간극을 조정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론의 핵심 요소는 의사와 환자 사이의 관계이다. 이는 의사가 기본적 오류 문제를 악화하든지 혹은 환자가 이를 제거하는데 도움을 준다. 발린트는 환자들 대부분이 유년기에서부터 돌봄과 양육이 결여된 채 자라왔기에, 의사는 환자에게 "심리적 모성 양호(psychological mothering)"를 수행하고 돌봄관계(care relationship)를 재구축하는 것처럼 행동해야 한다고 하였다. (ko)
|
dbo:wikiPageID
| |
dbo:wikiPageLength
|
- 15178 (xsd:nonNegativeInteger)
|
dbo:wikiPageRevisionID
| |
dbo:wikiPageWikiLink
| |
dbp:wikiPageUsesTemplate
| |
dcterms:subject
| |
rdfs:comment
|
- 기본적 결함 이론(Basic Fault Theory) 혹은 기저 결손 혹은 기본적 오류는 마이클 발린트(Michael Balint)가 창안하였다. 대상관계(objec relations) 형성과 관련하여, 유년기 초기부터 미해결된 의존(dependency) 문제로 인하여 건강한 관계를 형성하지 못하는 것과 관련되어 있다. 개인이 가지고 있는 심리적인 욕구와, 이에 대응하여 가까운 사람으로부터 돌봄받지 못하였거나 부정적인 돌봄을 받은 것 사이에서 발생한 간극을 조정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론의 핵심 요소는 의사와 환자 사이의 관계이다. 이는 의사가 기본적 오류 문제를 악화하든지 혹은 환자가 이를 제거하는데 도움을 준다. 발린트는 환자들 대부분이 유년기에서부터 돌봄과 양육이 결여된 채 자라왔기에, 의사는 환자에게 "심리적 모성 양호(psychological mothering)"를 수행하고 돌봄관계(care relationship)를 재구축하는 것처럼 행동해야 한다고 하였다. (ko)
- Basic Fault Theory was proposed by Michael Balint, and alludes to an individual's inability to form healthy relationships due to unresolved dependency issues from early childhood in relation to the formation of object reactions in an effort to deal with a lack of adjustment between their psychological needs and the lack or negative care provided by someone close to them. (en)
|
rdfs:label
|
- Basic fault theory (en)
- 기본적 결함 (ko)
|
owl:sameAs
| |
prov:wasDerivedFrom
| |
foaf:isPrimaryTopicOf
| |
is rdfs:seeAlso
of | |
is foaf:primaryTopic
of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