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ntity of Type: societal event, from Named Graph: http://dbpedia.org, within Data Space: dbpedia.org

The Sveaborg rebellion was an Imperial Russian military mutiny which broke out on the evening of 30 July 1906 amongst the garrison of the coastal fortress of Sveaborg in the coast of Helsinki in the Grand Duchy of Finland. The mutiny was part of the aftermath of the Russian Revolution of 1905, which by summer 1906 had effectively been suppressed in most other regions of the Russian Empire.

Property Value
dbo:abstract
  • تمرد فيابوري (بالفنلندية Viaporin kapina) تمرد اندلع في 30 يونيو 1906 بحصن سوومنلينا البحري (سفيابورغ بالسويدية والروسية) كجزء من الثورة الروسية 1905 -1907. بدأ التمرد بانتفاض الجنود روس في سوومنلينا على سوء معاملة الجنود وضد الضباط. كان التمرد أيضاً احتجاجاً على خسارة الحرب الروسية-اليابانية. اعتقد المتمردون أنه بالتمرد سيحصلون على دعم من تمردات أخرى، إلا أن ذلك لم يحصل وانتهى التمرد في غضون 60 ساعة. (ar)
  • The Sveaborg rebellion was an Imperial Russian military mutiny which broke out on the evening of 30 July 1906 amongst the garrison of the coastal fortress of Sveaborg in the coast of Helsinki in the Grand Duchy of Finland. The mutiny was part of the aftermath of the Russian Revolution of 1905, which by summer 1906 had effectively been suppressed in most other regions of the Russian Empire. (en)
  • 비아포리 반란(핀란드어: Viaporin kapina 비아포린 카피나[*], 스웨덴어: Sveaborgsrevolten)은 1906년 7월 30일 저녁, 핀란드 대공국의 헬싱키 해안에 있는 비아포리 요새(스웨덴어 이름 스베아보리 요새, 핀란드 독립 이후 수오멘린나 요새로 개명) 주둔군이 일으킨 반란이다. 1905년 러시아 혁명의 후폭풍 중 하나였다. 비아포리 요새는 18세기에 헬싱키의 해안 방어를 위해 지어진 요새였다. 1906년 당시 포병 1,800 여명, 보병 1,500 여명, 공병 250 여명이 주둔 중이었다. 총 병력 3,500 여명으로, 헬싱키 및 그 주변에 주둔 중인 러시아 제국군의 절반 정도 수효였다. 핀란드계 친위대가 1905년에 해산되고 핀란드 대공국에 핀란드계 군부대는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들 주둔군 병사들은 모두 러시아계였다. 봉기를 일으킨 것은 초급장교 세 명: 대위, 중위, 중위였다. 비밀리에 볼셰비키에 동조하고 있던 치온 대위는 핀란드 국민위병 지도자 요한 코크와 접촉했다. 국민위병은 좌익계 반차르주의 운동집단으로, 당시 구성원은 6천 명을 초과했다. 그러나 무장 수준은 형편없었고 훈련도 되어 있지 않았다. 반란이 일어난 것은 7월 30일 저녁으로, 본래 계획했던 것보다 이른 때였다. 그러나 열악한 식품 상태와 특별 급여의 취소가 공병과 포병들 사이에 불만을 일으켰다. 이들은 대부분 러시아의 공업지역들에서 징병된 이들이었다. 특히 불안정했던 것이 공병중대로, 이들은 일찌감치 집단으로 체포되어 근처 초소로 이동되었다. 공병들이 체포되자 포병들이 반란을 일으켜 상교들을 쫓아내거나 잡아 가두었다. 7월 31일 낮이 되자 대략 2천 명이 반란에 참여했다. 한편 보병들은 대부분 농촌 출신으로 공병이나 포병에 비해 체제순응적이었고, 반란에 동참하지 않고 장교들의 지휘에 계속 따랐다. 반란 지도부는 자신들의 반란이 헬싱키와 크론시타트 일대의 해군기지들에 주둔 중인 발트 함대 수병들 전체의 봉기로 이어지기를 기대했다. 하지만 작년의 포템킨 전함의 반란 등으로 대표되는 해군의 불안은 대부분 진압된 상태였고, 비아포리 인근의 군함들의 수병들은 반란에 동참할 뜻을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핀란드에 주둔 중인 육군의 카자크 기병대나 보병들도 명령을 계속 준수했다. 반란군은 인근의 를 점령했지만, 봉기는 급속히 탄력을 잃기 시작했다. 8월 1일 함포 사격이 이루어진 뒤, 반란을 일으킨 포병 및 공병들의 대다수가 항복했다. 반란은 불과 60시간 동안 지속되었다. 반란 지도부 중 에멜랸프와 코칸스키는 처형되었고, 치온은 잉글랜드로 도주했다. 한편, 핀란드 국민위병 대원 수백 명이 반란군에 동참하였고 요한 코크는 이들을 지지하기 위한 총파업을 요청했다. 하지만 에서 러시아 수병들과 핀란드 반공주의자들이 이들을 진압했다. 수십 명이 사망한 뒤 제국군이 승리했다. 코크는 스웨덴으로 도피했고 최종적으로 잉글랜드에 정착했다. (ko)
  • Свеабо́ргское восста́ние — вооружённое выступление матросов и солдат гарнизона русской морской крепости Свеаборг близ столицы Великого княжества Финляндского Гельсингфорса, произошедшее 18 (31) июля—20 июля (2 августа) 1906 года. (ru)
  • Sveaborgsrevolten var ett uppror bland det ryska manskapet på Sveaborg 30 juli 1906, med åtföljande arbetaroroligheter i Helsingfors. Helsingfors röda garde under Johan Kocks ledning utlyste en strejk, för att bistå de upproriska på Sveaborg. Denna strejk varade från 31 juli till 3 augusti, men blev endast lokal och partiell till sin omfattning, bland annat beroende på att den socialdemokratiska partiledningen intog en avvaktande hållning. På strejkens näst sista dag drabbade röda gardet och den borgerliga skyddskåren samman på Hagnäs torg i Helsingfors. (sv)
dbo:causalties
  • 25px43 mutineers executed, 127 sentenced to hard labor, 735 jailed
dbo:combatant
  • 25pxDefense Corps
  • 25pxImperial Russian Army
  • 25pxLabour Corps
  • 25pxRussian Imperial NavyBaltic Fleet
  • 25pxSveaborg garrison army mutineers
dbo:commander
dbo:date
  • 1906-07-30 (xsd:date)
dbo:isPartOfMilitaryConflict
dbo:place
dbo:result
  • Imperial Russian Army victory; uprising suppressed
dbo:strength
  • 25px2000
  • 25px25px25px2000
dbo:thumbnail
dbo:wikiPageID
  • 4890886 (xsd:integer)
dbo:wikiPageLength
  • 6805 (xsd:nonNegativeInteger)
dbo:wikiPageRevisionID
  • 1107193943 (xsd:integer)
dbo:wikiPageWikiLink
dbp:caption
  • Helsinkians watching the rebellion (en)
dbp:casualties
  • 25 (xsd:integer)
  • Unknown (en)
dbp:casus
  • Attempted coup by Bolsheviks. Sergei Tsion and Johan Kock fled to Sweden (en)
dbp:combatant
  • 25 (xsd:integer)
dbp:commander
  • 25 (xsd:integer)
dbp:conflict
  • Sveaborg rebellion (en)
dbp:date
  • 0001-07-30 (xsd:gMonthDay)
dbp:imageSize
  • 300 (xsd:integer)
dbp:partof
  • the Russian Revolution of 1905 (en)
dbp:place
  • Suomenlinna and Helsinki (en)
dbp:result
  • Imperial Russian Army victory; uprising suppressed (en)
dbp:strength
  • 25 (xsd:integer)
dbp:wikiPageUsesTemplate
dcterms:subject
rdf:type
rdfs:comment
  • تمرد فيابوري (بالفنلندية Viaporin kapina) تمرد اندلع في 30 يونيو 1906 بحصن سوومنلينا البحري (سفيابورغ بالسويدية والروسية) كجزء من الثورة الروسية 1905 -1907. بدأ التمرد بانتفاض الجنود روس في سوومنلينا على سوء معاملة الجنود وضد الضباط. كان التمرد أيضاً احتجاجاً على خسارة الحرب الروسية-اليابانية. اعتقد المتمردون أنه بالتمرد سيحصلون على دعم من تمردات أخرى، إلا أن ذلك لم يحصل وانتهى التمرد في غضون 60 ساعة. (ar)
  • The Sveaborg rebellion was an Imperial Russian military mutiny which broke out on the evening of 30 July 1906 amongst the garrison of the coastal fortress of Sveaborg in the coast of Helsinki in the Grand Duchy of Finland. The mutiny was part of the aftermath of the Russian Revolution of 1905, which by summer 1906 had effectively been suppressed in most other regions of the Russian Empire. (en)
  • Свеабо́ргское восста́ние — вооружённое выступление матросов и солдат гарнизона русской морской крепости Свеаборг близ столицы Великого княжества Финляндского Гельсингфорса, произошедшее 18 (31) июля—20 июля (2 августа) 1906 года. (ru)
  • Sveaborgsrevolten var ett uppror bland det ryska manskapet på Sveaborg 30 juli 1906, med åtföljande arbetaroroligheter i Helsingfors. Helsingfors röda garde under Johan Kocks ledning utlyste en strejk, för att bistå de upproriska på Sveaborg. Denna strejk varade från 31 juli till 3 augusti, men blev endast lokal och partiell till sin omfattning, bland annat beroende på att den socialdemokratiska partiledningen intog en avvaktande hållning. På strejkens näst sista dag drabbade röda gardet och den borgerliga skyddskåren samman på Hagnäs torg i Helsingfors. (sv)
  • 비아포리 반란(핀란드어: Viaporin kapina 비아포린 카피나[*], 스웨덴어: Sveaborgsrevolten)은 1906년 7월 30일 저녁, 핀란드 대공국의 헬싱키 해안에 있는 비아포리 요새(스웨덴어 이름 스베아보리 요새, 핀란드 독립 이후 수오멘린나 요새로 개명) 주둔군이 일으킨 반란이다. 1905년 러시아 혁명의 후폭풍 중 하나였다. 비아포리 요새는 18세기에 헬싱키의 해안 방어를 위해 지어진 요새였다. 1906년 당시 포병 1,800 여명, 보병 1,500 여명, 공병 250 여명이 주둔 중이었다. 총 병력 3,500 여명으로, 헬싱키 및 그 주변에 주둔 중인 러시아 제국군의 절반 정도 수효였다. 핀란드계 친위대가 1905년에 해산되고 핀란드 대공국에 핀란드계 군부대는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들 주둔군 병사들은 모두 러시아계였다. 봉기를 일으킨 것은 초급장교 세 명: 대위, 중위, 중위였다. 비밀리에 볼셰비키에 동조하고 있던 치온 대위는 핀란드 국민위병 지도자 요한 코크와 접촉했다. 국민위병은 좌익계 반차르주의 운동집단으로, 당시 구성원은 6천 명을 초과했다. 그러나 무장 수준은 형편없었고 훈련도 되어 있지 않았다. (ko)
rdfs:label
  • تمرد فيابوري (ar)
  • 비아포리 반란 (ko)
  • Sveaborg rebellion (en)
  • Свеаборгское восстание (ru)
  • Sveaborgsrevolten (sv)
owl:sameAs
prov:wasDerivedFrom
foaf:depiction
foaf:isPrimaryTopicOf
foaf:name
  • Sveaborg rebellion (en)
is dbo:wikiPageRedirects of
is dbo:wikiPageWikiLink of
is foaf:primaryTopic of
Powered by OpenLink Virtuoso    This material is Open Knowledge     W3C Semantic Web Technology     This material is Open Knowledge    Valid XHTML + RDFa
This content was extracted from Wikipedia and is licensed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ShareAlike 3.0 Unported Licen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