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ing (typefaces)     Goto   Sponge   NotDistinct   Permalink

An Entity of Type : yago:Type106825120, within Data Space : dbpedia.org associated with source document(s)
QRcode icon
http://dbpedia.org/describe/?url=http%3A%2F%2Fdbpedia.org%2Fresource%2FMing_%28typefaces%29&graph=http%3A%2F%2Fdbpedia.org&graph=http%3A%2F%2Fdbpedia.org

Ming or Song is a category of typefaces used to display Chinese characters, which are used in the Chinese, Japanese and Korean languages. They are currently the most common style of type in print for Chinese and Japanese.

AttributesValues
rdf:type
rdfs:label
  • Ming (Schrift) (de)
  • 명조체 (ko)
  • 明朝体 (ja)
  • Ming (typefaces) (en)
  • Minchō (pl)
  • 宋体 (zh)
rdfs:comment
  • Die Ming-Schriftart (chinesisch 明體 / 明体, Pinyin Míngtǐ) bzw. Song-Schriftart (chinesisch 宋體 / 宋体, Pinyin Sòngtǐ) oder Minchōtai (jap. 明朝体) oder Batang (kor. 바탕체) ist eine Schriftart zur Darstellung von chinesischen Zeichen. Sie ist die meistgenutzte Schriftart im Druck des chinesischen, japanischen und koreanischen Sprachraums. (de)
  • Ming or Song is a category of typefaces used to display Chinese characters, which are used in the Chinese, Japanese and Korean languages. They are currently the most common style of type in print for Chinese and Japanese. (en)
  • 明朝体(みんちょうたい)は、漢字の書体の一種で、セリフ書体に分類される。漢字や仮名の表示や印刷において標準的な書体である。中国語では一般に宋体といい、明体とも呼ばれる。日本語の明朝体は活字技術の導入期以来ひらがな・カタカナを含むが、漢字とは様式が異なる。 (ja)
  • Minchō (jap. 明朝体 Minchō-tai) – jeden z najpopularniejszych stylów fontów japońskich. Odpowiada zachodnim fontom dwuelementowym (takim jak Times New Roman). (pl)
  • 明體(中国大陆一般称宋体;港澳通常称為明體;臺灣有宋體和明體兩種說法),是汉字印刷字体的风格类别。最初是在复刻临安书棚本时将笔划加以直线化,呈现出硬朗表情的一种字体。笔画有粗细变化,而且一般是横细竖粗,末端有装饰部分(即“字脚”或“衬线”),点、撇、捺、钩等笔画有尖端,属于白体,常用于书籍、杂志、报纸印刷的正文排版。 (zh)
  • ( 이 문서는 일반적인 명조체에 관한 것입니다. 비트맵 컴퓨터 글꼴에 대해서는 명조체 (비트맵 글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명조체(明朝體)는 본문에서 많이 쓰이는 대표적인 한글 글꼴이자, 한자 글꼴이다. 바탕체라고도 한다. 가로획이 가늘고 세로획이 굵으며 세로획의 첫머리와 가로획의 끝머리가 세리프로 장식한 글꼴체를 말한다. 한자의 경우 중국 명나라 때 만들어진 글꼴이라는 뜻에서 명조체라는 이름이 유래되었다. 하지만 실제로는 중국 송나라 때의 글자체인 송체에 더 가깝고 중국에서는 명조체를 송체라고 부른다. 한글 글꼴의 경우는 다만 한자의 명조체와 비슷하게 생겼다는 이유에서 그 단어를 차용하게 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실제로 한글 명조체는 궁체에서 그 모양이 유래되었다. 현재의 한글 명조체는 1960년대 가 만든 서체를 바탕으로 하고 있고 다양한 변형본들이 있다. 주로 책이나 신문 등의 본문 글꼴에 많이 쓰이고, 바탕체라고 부르기도 한다. 영문 세리프 글꼴의 경우에도 한글 명조체와 잘 어울리는 글꼴을 영문 명조체라고 부르기도 한다. 명조체는 영문 인쇄술의 세리프 글꼴과 대응이 되고 이와 반대로 세리프가 없는 산세리프 글꼴을 고딕체라고 부른다. (ko)
rdfs:seeAlso
foaf:depiction
  • http://commons.wikimedia.org/wiki/Special:FilePath/浙江姓解1.jpeg
  • http://commons.wikimedia.org/wiki/Special:FilePath/Mintyotai.svg
  • http://commons.wikimedia.org/wiki/Special:FilePath/菊澗小集終頁.jpg
  • http://commons.wikimedia.org/wiki/Special:FilePath/齊書11.jpg
dcterms:subject
Wikipage page ID
Wikipage revision ID
Link from a Wikipage to another Wikipage
Faceted Search & Find service v1.17_git139 as of Feb 29 2024


Alternative Linked Data Documents: ODE     Content Formats:   [cxml] [csv]     RDF   [text] [turtle] [ld+json] [rdf+json] [rdf+xml]     ODATA   [atom+xml] [odata+json]     Microdata   [microdata+json] [html]    About   
This material is Open Knowledge   W3C Semantic Web Technology [RDF Data] Valid XHTML + RDFa
OpenLink Virtuoso version 08.03.3330 as of Mar 19 2024, on Linux (x86_64-generic-linux-glibc212), Single-Server Edition (378 GB total memory, 59 GB memory in use)
Data on this page belongs to its respective rights holders.
Virtuoso Faceted Browser Copyright © 2009-2024 OpenLink Softw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