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Chungnyeolsa (Busan)     Goto   Sponge   NotDistinct   Permalink

An Entity of Type : yago:Relation100031921, within Data Space : dbpedia.org associated with source document(s)
QRcode icon
http://dbpedia.org/describe/?url=http%3A%2F%2Fdbpedia.org%2Fresource%2FChungnyeolsa_%28Busan%29&graph=http%3A%2F%2Fdbpedia.org&graph=http%3A%2F%2Fdbpedia.org

Chungnyeolsa is a sacred shrine, where the spirits of those who fought against the Japanese troops during the Japanese invasions of Korea of 1592, are enshrined. The present Chungnyeolsa was first built in 1605 (the 38th year of the reign under King Seonjo) as Songgongsa, within the South Gate of Dongnae eupseong by , the Deputy Delegate of Dongnae, enshrining Song Sang-hyeon and performing annual rite to the spirit. Then, in 1624 (the 2nd year of the reign under King Injo), with the suggestion of , the name of the temple was changed to Chungnyeolsa, also enshrining the spirit of Jeong Bal, a patriot who died a heroic death at Busanjin Fortress.

AttributesValues
rdf:type
rdfs:label
  • Chungnyeolsa (Busan) (en)
  • 부산 충렬사 (ko)
  • Чхуннёльса (ru)
  • 釜山忠烈祠 (zh)
rdfs:comment
  • Чхуннёльса (кор. 충렬사) — святилище в районе Тоннэгу города-метрополиса Пусан, где хранятся поминальные таблички в честь павших корейских патриотов в осаде Пусанджина, битве за Тадэпхо и битве за Тоннэ во время японских вторжений на Корею. (ru)
  • 釜山忠烈祠(부산 충렬사)是韩国釜山的一处祭祀建筑,纪念在1592年壬辰倭乱时抵抗日本军队入侵时的殉国将士,位于东莱区安乐洞忠烈大路 345号。1972年 6月26日列为釜山广域市有形文化遗产。 釜山忠烈祠由东莱府使尹暄创建于1605年,位于東萊邑城的南门内,纪念东莱府使宋象贤,名为宋公祠壇。1624年,应宣慰使李敏求之请求,国王赐名忠烈祠,并增补了原釜山鎭僉節制使将军的灵位。1625年(朝鮮仁祖三年), 忠烈祠迁至目前的位置。 (zh)
  • Chungnyeolsa is a sacred shrine, where the spirits of those who fought against the Japanese troops during the Japanese invasions of Korea of 1592, are enshrined. The present Chungnyeolsa was first built in 1605 (the 38th year of the reign under King Seonjo) as Songgongsa, within the South Gate of Dongnae eupseong by , the Deputy Delegate of Dongnae, enshrining Song Sang-hyeon and performing annual rite to the spirit. Then, in 1624 (the 2nd year of the reign under King Injo), with the suggestion of , the name of the temple was changed to Chungnyeolsa, also enshrining the spirit of Jeong Bal, a patriot who died a heroic death at Busanjin Fortress. (en)
  • 욕설 충렬사(忠烈祠)는 부산광역시 동래구 안락동에 있는 송상현을 모신 사당(서원)이다. 1972년 6월 26일 부산광역시의 유형문화재 제7호로 지욕 * 선조 38년 (1605) 동래부사 윤훤(尹暄)이 읍성의 남문 안에다 충렬공 송상현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송공사단(宋公祠壇)을 세운 것이 충렬사의 시초가 된다. * 인조2년 (1624), 선위사(宣慰使) 이민구(李敏求)의 소청(訴請)으로 임금이 충렬사(忠烈祠)라는 사액을 내림과 동시에 부산진첨절제사(釜山鎭僉節制使)로 부산진성 싸움에서 전사한 정발이 배향(配享)되었다. * 효종3년 (1652), 동래부사 윤문거(尹文擧)가 성내의 충렬사(忠烈祠) 사우의 위치가 적합지 않다하여 현재의 자리인 래산(萊山) 아래 안락리로 옮겨 지으면서 규모를 확장하여 서원의 예를 따를 것으로 하여 안락서원(安樂書院)으로 불렀다. 이때 서원에 별사(別祠)를 지어 첨사 정발과 교수 노개방의 위패를 봉안하려고 하였으나 이루지 못하고 첨사 정발은 안락서원의 사당에 배향되었다. * 숙종35년(1709), 동래부사 (權以鎭)이 성내에 있던 충렬사 옛터에 별사(別祠)를 세우고 임란 당시 양산군수 조영규(趙英圭), 동래교수 노개방(盧蓋邦)을 병향하고, 유생 문덕겸(文德謙)을 이에 배향하였으며, 별사 옆에 별채를 지어 비장(裨將) 송봉수(宋鳳壽), 김희수(金希壽), 겸인 신여로(申汝櫓), 향리 송백(宋伯), 부민 김상(金祥)등 9인의 의사를 추향(追享) 할 것과 별사의 사액을 조정에 탄원하였다. * 숙종37년(1711), 충렬사 별사(忠烈祠 別祠)에 사액이 내리고, 별사에 9인의 의사를 추향하 (ko)
geo:lat
geo:long
foaf:depiction
  • http://commons.wikimedia.org/wiki/Special:FilePath/Chungryeolsa.jpg
dcterms:subject
Wikipage page ID
Wikipage revision ID
Link from a Wikipage to another Wikipage
sameAs
dbp:wikiPageUsesTemplate
thumbnail
mr
  • Ch'ungnyŏlsa (en)
hangul
  • 충렬사 (en)
RR
  • Chungnyeolsa (en)
georss:point
  • 35.2012 129.0956
has abstract
  • Chungnyeolsa is a sacred shrine, where the spirits of those who fought against the Japanese troops during the Japanese invasions of Korea of 1592, are enshrined. The present Chungnyeolsa was first built in 1605 (the 38th year of the reign under King Seonjo) as Songgongsa, within the South Gate of Dongnae eupseong by , the Deputy Delegate of Dongnae, enshrining Song Sang-hyeon and performing annual rite to the spirit. Then, in 1624 (the 2nd year of the reign under King Injo), with the suggestion of , the name of the temple was changed to Chungnyeolsa, also enshrining the spirit of Jeong Bal, a patriot who died a heroic death at Busanjin Fortress. Then, in 1625 (the 3rd year of the reign under King Injo), Chungnyeolsa was moved to the current location, and named Allak Seowon with the construction of an auditorium and Dongseojae, in order to pass the loyalty and the academic conducts of the ancestors, serving both the functions of a temple house and a library. In 1709 (the 35th year of the reign under King Sukjong), a separate building was built at the original location of Songgongsa, in memory of Jo Yeong-gyu (the Country Governor of Yangsan-gun), No Gae-bang (the Dongnae Kyosoo), Mun Deok-gyeom (a Confucian scholar), Yang Jo-han, Song Bong-su (the Bijang), Kim Hui-soo (the Military Commander), Sin Yeo-ro (a steward), Song Baek (the Hyangni) and Kim Sang (a common man), etc., all of whom dies bravely with Song Sang-hyeon and Jeong Bal. In 1736 (the 12th year of the reign under King Yeongjo), the ones enshrined at the separate buildings were all enshrined together at Chungnyeolsa, and in 1772 (the 48th year of the reign under King Yeongjo), , the Dadaecheomsa, was also enshrined here, while a sanctuary was built outside the East Gate of Chungnyeolsa, in memory of Geumseom and Aehyang, each of whom died after Song Sang-hyeon and Jeong Bal. Chungnyeolsa went through more remodeling and restoration thereafter, and is currently composed of 16 buildings including the main hall in a total area of 93,448 m2. Approximately 92 memorial tablets are enshrined in memory of those who died bravely and patriotically in Busan region, fighting against the Japanese troops. A sacrificial rite is performed on May 25 annually, with the gratitude and the hearts of the citizens of Busan Metropolitan City. (en)
  • 욕설 충렬사(忠烈祠)는 부산광역시 동래구 안락동에 있는 송상현을 모신 사당(서원)이다. 1972년 6월 26일 부산광역시의 유형문화재 제7호로 지욕 * 선조 38년 (1605) 동래부사 윤훤(尹暄)이 읍성의 남문 안에다 충렬공 송상현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송공사단(宋公祠壇)을 세운 것이 충렬사의 시초가 된다. * 인조2년 (1624), 선위사(宣慰使) 이민구(李敏求)의 소청(訴請)으로 임금이 충렬사(忠烈祠)라는 사액을 내림과 동시에 부산진첨절제사(釜山鎭僉節制使)로 부산진성 싸움에서 전사한 정발이 배향(配享)되었다. * 효종3년 (1652), 동래부사 윤문거(尹文擧)가 성내의 충렬사(忠烈祠) 사우의 위치가 적합지 않다하여 현재의 자리인 래산(萊山) 아래 안락리로 옮겨 지으면서 규모를 확장하여 서원의 예를 따를 것으로 하여 안락서원(安樂書院)으로 불렀다. 이때 서원에 별사(別祠)를 지어 첨사 정발과 교수 노개방의 위패를 봉안하려고 하였으나 이루지 못하고 첨사 정발은 안락서원의 사당에 배향되었다. * 숙종35년(1709), 동래부사 (權以鎭)이 성내에 있던 충렬사 옛터에 별사(別祠)를 세우고 임란 당시 양산군수 조영규(趙英圭), 동래교수 노개방(盧蓋邦)을 병향하고, 유생 문덕겸(文德謙)을 이에 배향하였으며, 별사 옆에 별채를 지어 비장(裨將) 송봉수(宋鳳壽), 김희수(金希壽), 겸인 신여로(申汝櫓), 향리 송백(宋伯), 부민 김상(金祥)등 9인의 의사를 추향(追享) 할 것과 별사의 사액을 조정에 탄원하였다. * 숙종37년(1711), 충렬사 별사(忠烈祠 別祠)에 사액이 내리고, 별사에 9인의 의사를 추향하였다. 이때 예조참판 김진규(金鎭圭)가 조정에서 별사를 폐지하고 위패를 본사(本祠)로 옮길 것을 청하여 임금의 윤허가 있자, 동래부사 권이진(權以鎭)이 서원에는 문신 위주의 배향이 교육 상 바람직하니 오히려 별사에 무신인 첨사 정발을 모시고 별사에 있는 교수 노개방을 서원에 배향하는 것이 좋겠다는 상소를 올렸다. * 숙종 38년(1712) 부사 권이진(權以鎭)의 상소가 가납되어 6월 22일 첨사 정발을 별사에 모시고 교수 노개방을 안락서원에 부사 송상현의 배향으로 하였다. * 영조11년 (1735) 경상감사 민응수(閔應洙)가 서원에 무신인 유응부(兪應孚;사육신)의 예가 있어 순절한 자에게까지 문무관(文武官)의 차별을 하는 것은 온당치 않으니 별사를 없애고 9위를 다시 래산서원(萊山書院;안락서원의 별칭)으로 옮길 것을 상소로 청하였는데, 임금이 이를 가납하면서 이듬해인 1736년 별사를 파하고 충렬사의 이름을 다시 사용토록할 것과 첨사 정발을 병향(竝享)토록 하였는데, 이때 순절공신 전 훈도 양조한(梁潮漢)은 호조정랑, 양통한(梁通漢)은 호조좌랑에 각각 증직하고, 24공신에게도 증직하였다. 한편 부사 송상현과 첨사 정발의 첩인 김섬과 애향은 속서이열각(束庶二烈閣)에, 기왓장을 깨고 싸웠던 두여인은 이촌녀각(二村女閣)에 각각 모셨다. (※ 동래부사 윤문거(尹文擧)가 충렬사를 안락서원으로 고쳐 부른 것을 이때 다시 충렬사의 명칭을 사용하라는 조정의 명령은 있었으나, 안락서원(安樂書院)을 파하라는 명령이 없었기 때문에 아마 사우(祠宇)의 명칭으로 사용될 때는 <충렬사>로 서원의 명칭으로 각각 사용되었다고 짐작된다) * 영조48년 (1766) 1월 14일에 행부사직 조엄이 다대첨사 윤흥신(尹興信)의 공적이 징비록을 비롯한 곳곳에 있음에도 동래의 충렬사에 향사되지 않은 것은 부당하다는 사실을 임금에게 호소하였다. 이에 영의정 김치인, 우의정 김상철이 역시 윤흥신의 병향(竝享)을 찬동하여 그해 2월 12일에 충렬사에 배향되어 충렬사 사당의 정당에는 부사 송상현과 첨사 정발이 병향(竝享)되고 고수 노계방, 첨사 윤흥신, 군수 조영규가 각각 배향(配享) 되었다. 한편 동무에 유생 문덕겸(文德謙), 비장(裨將) 송봉수(宋鳳壽) · 김희수(金希壽), 서무에 겸인 신여로(申汝櫓), 향리 송백(宋伯), 부민 김상(金祥)을 각각 종향(從享)하였다 * 고종2년 (1865), 대원군이 47개 서원 이외 전국의 모든 서원을 철폐하였으나 안락서원은 철에서 제외되었다. * 1976년부터 1978년까지 부산시가 현재의 충렬사를 성역화 사업을 벌렸는데, 이때 충렬사 안락서원 건물을 보존하지 못하는 아쉬움을 남겼으나, 정당(正堂)에 모두 75위의 위패를 모셨다. * 1991년 부산광역시에서 정철, 정린, 문택룡, 박경립, 김호의, 김사위, 박천주, 정호인, 문도명, 이춘상, 이성춘, 송용경, 정언룡 등 13공신을 합향하였고, 이어 1996년 박귀희, 구영취 두 공신과 순절공 이위 등 3위, 2003년 김망내, 2007년 이응원을 다시 합향하여 모두 탈모가 된다 * 본전(本殿) : 89신위(神位) * * 수위(首位) : 3신위(神位) * 1 동래부사 송상현(宋象賢 1551~1592) * 2 부산첨사 정 발(鄭發 1553~1592) * 3 다대첨사 윤흥신(尹興信) * 욕설 * * 배위(配位) : 16신위(神位) * * - 서편 : 8신위 * 1 부산진전투 무명용사 * 2 다대진전투 무명용사, * 3 녹도만호 정 운, * 4 동래교수(東萊敎授) 노개방(盧蓋邦), * 5 병조참판 윤흥제(尹興梯), * 6 호조정랑 양조한, * 7 군자감판관 송봉수, * 8 예빈시주부 송백(宋伯) * * - 동편 : 8신위 * 1 동래부전투 무명용사, * 2 부산포해전, 무명용사, * 3 양산군수 조영규(趙英圭), * 4 부사맹 이정헌, * 5 호조좌랑 문덕겸, * 6 중부참봉 신여로, * 7 군자감판관 김희수, * 8 중부참봉 김 상 * * * 종위(從位) : 70신위 * *- 서편 : 39위 * ** 별전공신 24인, * 첨사(僉使) 김정서(金廷瑞) - 통정대부 병조참의 * 절충(折衝) 정승헌(鄭承憲) - 통정대부 병조참의 * 정(正) 문세휘(文世輝) - 통정대부 병조참의 * 정(正) 정 순(鄭 順) - 통정대부 병조참의 * 권관(權管) 김일개(金一介) - 통정대부 병조참의 * 정(正) 김일덕(金一德) - 통정대부 병조참의 * 정(正) 송창문(宋昌文) - 통정대부 병조참의 * 정(正) 김근우(金根祐) - 통정대부 병조참의 * 주부(主簿) 이언홍(李彦弘) - 통정대부 병조참의 * 절충(折衝) 김 달(金 達) - 통정대부 병조참의 * 정(正) 송남생(宋南生) - 통정대부 병조참의 * 부장(部將) 황보상(皇甫祥) - 통정대부 병조참의 * 참봉(參奉) 오 홍(吳 鴻) - 통훈대부 장악원정 * 판관(判官) 김 기(金 琦) - 어모장군 훈련원정 * 판관(判官) 김 흘(金 屹) - 어모장군 훈련원정 * 겸사복(兼司僕) 김대의(金大義) - 어모장군 훈련원정 * 첨정(僉正) 김 복(金 福) - 어모장군 훈련원정 * 판관(判官) 이응필(李應弼) - 어모장군 훈련원정 * 부장(部將) 오춘수(吳春壽) - 사재감첨정 * 관노(官奴) 박인수(朴仁壽) - 군자감주부 * 주부(主簿) 강개련(姜介連) - 사재감첨정 * 수문장(守門將) 송계남(宋繼男) - 사도시첨정 * 겸사복(兼司僕) 이 복(李 福) - 군자감판관 * 겸사복(兼司僕) 송의남(宋義男) - 군자감판관 * 동래부충복 철수 * 동래부충복 만동 * = 1991년 9월 10일 합사 선열 (13위) * 수문장(守門將) 정 철(丁 哲) - 시호는 충절(忠節) 병조판서에 증직 * 부장(部將) 정 린(丁 麟) - 시호는 충숙(忠肅) 병조판서에 증직 * 교생(校生) 문택룡(文澤龍) -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에 증직 * 훈련원부정(訓練院副正) 박경립(朴擎立) * 훈련원첨정(訓練院僉正) 김호의(金好義) * 만호(萬戶) 김사위(金士偉) * 교생(校生) 박천추(朴天樞) - 판관(判官)에 증직 * 교생(校生) 정호인(鄭好仁) - 호조좌랑(戶曹佐郞)에 증직 * 주부(主簿) 문도명(文道明) * 직장(直長) 정언룡(鄭彦龍) * 주부(主簿) 이성춘(李成春) * 주부(主簿) 이춘상(李春祥) * 별시위(別侍衛) 송용경(宋龍景) - 주부(主簿)에 증 * * * - 동편 : 31신위 * 수영25의용인 * 1 임진수영의용 김옥개(壬辰水營義勇 金玉戒) * 2 임진수영의용 정인강(壬辰水營義勇 鄭仁彊) * 3 임진수영의용 최송엽(壬辰水營義勇 崔松葉) * 4 임진수영의용 최수만(壬辰水營義勇 崔守萬) * 5 임진수영의용 박기수(壬辰水營義勇 朴枝樹) * 6 임진수영의용 김팽량(壬辰水營義勇 金彭良) * 7 임진수영의용 박응복(壬辰水營義勇 朴應福) * 8 임진수영의용 심 남(壬辰水營義勇 沈 南) * 9 임진수영의용 김허농(壬辰水營義勇 金許弄) * 10 임진수영의용 주난금(壬辰水營義勇 朱難金) * 11 임진수영의용 김종수(壬辰水營義勇 金從守) * 12 임진수영의용 김진옥(壬辰水營義勇 金珍玉) * 13 임진수영의용 신 복(壬辰水營義勇 辛 福) * 14 임진수영의용 이희복(壬辰水營義勇 李希福) * 15 임진수영의용 이한손(壬辰水營義勇 李汗孫) * 16 임진수영의용 최한련(壬辰水營義勇 崔汗連) * 17 임진수영의용 최막내(壬辰水營義勇 崔莫乃) * 18 임진수영의용 최밀량(壬辰水營義勇 崔唜良) * 19 임진수영의용 김덕봉(壬辰水營義勇 金德奉) * 20 임진수영의용 김달망(壬辰水營義勇 金達亡) * 21 임진수영의용 이실정(壬辰水營義勇 李實貞) * 22 임진수영의용 정수원(壬辰水營義勇 鄭壽元) * 23 임진수영의용 박 재(壬辰水營義勇 朴 材) * 24 임진수영의용 이 수(壬辰水營義勇 李 壽) * 25 임진수영의용 이은춘(壬辰水營義勇 李銀春) * 부산진충복 용 월(釜山鎭忠僕 龍月) * = 1996년 9월 10일 합사 선열 (3위) * 병마절제도위(兵馬節制都尉) 박귀희(朴貴希) - 가선대부훈련대장(嘉 善大夫訓練大將)에 증직 * 금군(禁軍) 구영취(具榮鷲) - 훈련원첨정(訓練院僉正)에 증직 * 용양위부사과(龍驤衛副司果) 이위(李瑋) - 통정대부좌승지(通政大夫 左承旨) 및 대사헌(大司憲)에 증직 * = 2003년 4월 24일 합사선열 (1위) * 부장(部將) 김망내(金亡乃) * = 2007년 6월 19일 합사 선열 (1위) * 행충찬위부장(行忠贊衛部將) 이응원(李應元) * 의열각(義烈閣) : 4신위(神位) * 2의녀(義女) : 기왓장으로 왜적에 저항하여 싸웠던 무명의 두 의녀 * 2열녀(烈女) : 송상현공과 정발장군을 따라 순절한 금섬(金蟾), 애향(愛香) (ko)
  • Чхуннёльса (кор. 충렬사) — святилище в районе Тоннэгу города-метрополиса Пусан, где хранятся поминальные таблички в честь павших корейских патриотов в осаде Пусанджина, битве за Тадэпхо и битве за Тоннэ во время японских вторжений на Корею. (ru)
  • 釜山忠烈祠(부산 충렬사)是韩国釜山的一处祭祀建筑,纪念在1592年壬辰倭乱时抵抗日本军队入侵时的殉国将士,位于东莱区安乐洞忠烈大路 345号。1972年 6月26日列为釜山广域市有形文化遗产。 釜山忠烈祠由东莱府使尹暄创建于1605年,位于東萊邑城的南门内,纪念东莱府使宋象贤,名为宋公祠壇。1624年,应宣慰使李敏求之请求,国王赐名忠烈祠,并增补了原釜山鎭僉節制使将军的灵位。1625年(朝鮮仁祖三年), 忠烈祠迁至目前的位置。 (zh)
gold:hypernym
prov:wasDerivedFrom
page length (characters) of wiki page
foaf:isPrimaryTopicOf
geo:geometry
  • POINT(129.09559631348 35.201198577881)
is Link from a Wikipage to another Wikipage of
is Wikipage redirect of
is Wikipage disambiguates of
is foaf:primaryTopic of
Faceted Search & Find service v1.17_git139 as of Feb 29 2024


Alternative Linked Data Documents: ODE     Content Formats:   [cxml] [csv]     RDF   [text] [turtle] [ld+json] [rdf+json] [rdf+xml]     ODATA   [atom+xml] [odata+json]     Microdata   [microdata+json] [html]    About   
This material is Open Knowledge   W3C Semantic Web Technology [RDF Data] Valid XHTML + RDFa
OpenLink Virtuoso version 08.03.3330 as of Mar 19 2024, on Linux (x86_64-generic-linux-glibc212), Single-Server Edition (61 GB total memory, 51 GB memory in use)
Data on this page belongs to its respective rights holders.
Virtuoso Faceted Browser Copyright © 2009-2024 OpenLink Softw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