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HTML5 document contains 89 embedded RDF statements represented using HTML+Microdata notation.

The embedded RDF content will be recognized by any processor of HTML5 Microdata.

Namespace Prefixes

PrefixIRI
dctermshttp://purl.org/dc/terms/
yago-reshttp://yago-knowledge.org/resource/
dbohttp://dbpedia.org/ontology/
foafhttp://xmlns.com/foaf/0.1/
dbpedia-kohttp://ko.dbpedia.org/resource/
n7https://global.dbpedia.org/id/
dbpedia-trhttp://tr.dbpedia.org/resource/
schemahttp://schema.org/
dbthttp://dbpedia.org/resource/Template:
rdfshttp://www.w3.org/2000/01/rdf-schema#
n21http://www.ontologydesignpatterns.org/ont/dul/DUL.owl#
rdfhttp://www.w3.org/1999/02/22-rdf-syntax-ns#
owlhttp://www.w3.org/2002/07/owl#
dbpedia-zhhttp://zh.dbpedia.org/resource/
wikipedia-enhttp://en.wikipedia.org/wiki/
dbchttp://dbpedia.org/resource/Category:
dbphttp://dbpedia.org/property/
provhttp://www.w3.org/ns/prov#
xsdhhttp://www.w3.org/2001/XMLSchema#
dbpedia-idhttp://id.dbpedia.org/resource/
wikidatahttp://www.wikidata.org/entity/
dbrhttp://dbpedia.org/resource/

Statements

Subject Item
dbr:Battle_of_Uijeongbu_(1950)
rdf:type
dbo:SocietalEvent dbo:Event wikidata:Q1656682 dbo:MilitaryConflict owl:Thing schema:Event n21:Event
rdfs:label
Battle of Uijeongbu (1950) Pertempuran Uijeongbu 동두천·포천-의정부 전투 議政府戰役
rdfs:comment
Pertempuran Uijeongbu adalah pertempuran yang terjadi di Uijeongbu selama Perang Korea. Pertempuran ini dimulai pada 25 Juni 1950, saat Korea Utara menginvasi Korea Selatan. ( 1951년의 전투에 대해서는 의정부 전투 (1951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동두천·포천-의정부 전투(議政府戰鬪)는 1950년 6월 25일 ~ 6월 26일, 한국 전쟁 발발 당시에 동 지역에서 유재흥 준장이 지휘하는 제7사단(사단사령부 서울 북쪽 17km 의정부 소재)과 대전 지역에 주둔하다 급파된 이형근 준장이 지휘하는 제2사단이 북한군 김웅 중장이 지휘하는 제1군단 예하의 제4사단, 제3사단 및 제105기갑여단의 침공에 맞선 방어전이다. 이를 세부적으로 25일의 동두천 전투 및 포천 전투 그리고 26일은 의정부 전투로 구별하기도 한다. 한편, 북한군 제4사단(사단장 리권무 소장)은 동두천 북쪽의 연천 전곡 등지에 포격을 가한 뒤, 3번 국도를 따라 동두천으로 밀고 내려왔다. 동두천의 사수에 나선 제1연대는 소요산 등지에서 진지를 구축하고 지연전을 펼쳤으나 끝내 동두천은 함락되었다.(이상, 6월 25일의 동두천 전투) The Battle of Uijeongbu was a battle fought in Uijeongbu during the Korean War from 25 to 26 June 1950, during the North Korean invasion of South Korea. 議政府戰役是朝鮮戰爭中發生在議政府市的一場戰役,發生在1950年6月25日,當時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正入侵大韓民國,朝鮮人民軍之目標通過三條防線:第一是在開城市、及漢城(今首爾)之間,第二是在議政府市及漢城之間,第三是在春川市,在這三條防線中,春川市的防線位處最前,但開城市至汶山邑的防線在翌日已被突破及議政府市防線亦被輕易攻破。 朝鮮人民軍陸軍進攻部隊的第3師(師長李英鎬少將)及第4師(師長李權武少將)得到一個裝甲旅(第105裝甲旅)的增援,守軍是大韓民國陸軍第7師(師長劉載興准將),朝鮮人民軍投入了蘇聯的T-34坦克,因此缺乏反裝甲火力的韓國軍雖然得到第2師的增援,但仍然未能阻止人民軍的前進,防線最終崩潰。 韓國國軍第7師被從前線撤下來及在抱川市與東豆川市之間建立新的防線,但該師未能堅守及被擊退至議政府市,大韓民國陸軍總參謀長蔡秉德命令李亨根准將的第2師及其它部隊增援,但第二天朝鮮人民軍已攻佔議政府市,之後韓國國軍在江北區建立了另外一條防線,但是在彌阿里戰役中被打敗,而經過三天之阻擊後,朝鮮人民軍陸軍攻陷漢城。
foaf:name
Battle of Uijeongbu
dbo:place
dbr:Uijeongbu
dcterms:subject
dbc:Battles_and_operations_of_the_Korean_War_in_1950 dbc:Battles_of_the_Korean_War_involving_South_Korea dbc:Battles_of_the_Korean_War dbc:Battles_of_the_Korean_War_involving_North_Korea dbc:History_of_Gyeonggi_Province dbc:June_1950_events_in_Asia
dbo:wikiPageID
12929027
dbo:wikiPageRevisionID
1106496533
dbo:wikiPageWikiLink
dbc:Battles_of_the_Korean_War_involving_North_Korea dbc:Battles_of_the_Korean_War_involving_South_Korea dbr:4th_Division_(North_Korea) dbc:Battles_and_operations_of_the_Korean_War_in_1950 dbr:Battle_of_Miari dbr:3rd_Division_(North_Korea) dbc:History_of_Gyeonggi_Province dbr:Korean_People's_Army dbr:Pocheon dbr:Munsan dbr:Seoul dbr:105th_Armored_Division_(North_Korea) dbc:June_1950_events_in_Asia dbr:Gaeseong dbr:Republic_of_Korea_Army dbr:Korean_War dbr:Dongducheon dbr:Gangbuk-gu dbr:Uijeongbu dbr:Chuncheon dbr:2nd_Infantry_Division_(South_Korea) dbr:7th_Infantry_Division_(South_Korea) dbc:Battles_of_the_Korean_War
owl:sameAs
n7:4oUML yago-res:Battle_of_Uijeongbu_(1950) dbpedia-tr:Uijeongbu_Muharebesi dbpedia-zh:議政府戰役 wikidata:Q624064 dbpedia-ko:동두천·포천-의정부_전투 dbpedia-id:Pertempuran_Uijeongbu
dbp:wikiPageUsesTemplate
dbt:Flagcountry dbt:Reflist dbt:Coord_missing dbt:Campaignbox_Korean_War dbt:Unreferenced dbt:Flag dbt:Infobox_military_conflict
dbp:units
4 7 2 3 105
dbp:conflict
Battle of Uijeongbu
dbp:date
0001-06-25
dbp:partof
dbr:Korean_War
dbp:place
dbr:Uijeongbu
dbp:result
North Korean victory
dbo:abstract
The Battle of Uijeongbu was a battle fought in Uijeongbu during the Korean War from 25 to 26 June 1950, during the North Korean invasion of South Korea. ( 1951년의 전투에 대해서는 의정부 전투 (1951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동두천·포천-의정부 전투(議政府戰鬪)는 1950년 6월 25일 ~ 6월 26일, 한국 전쟁 발발 당시에 동 지역에서 유재흥 준장이 지휘하는 제7사단(사단사령부 서울 북쪽 17km 의정부 소재)과 대전 지역에 주둔하다 급파된 이형근 준장이 지휘하는 제2사단이 북한군 김웅 중장이 지휘하는 제1군단 예하의 제4사단, 제3사단 및 제105기갑여단의 침공에 맞선 방어전이다. 이를 세부적으로 25일의 동두천 전투 및 포천 전투 그리고 26일은 의정부 전투로 구별하기도 한다. 38선에 경계한 동두천·포천과 그 후방인 의정부 지역은 제7사단의 예하 제1연대(동두천 담당)와 제9연대(포천 담당) 및 포병·공병이 방어를 담당하고 있었다. 그러나, 실제로는 전쟁 직전에 연대병력의 대부분이 후방인 의정부 지역에서 기초훈련에 참여하고 있어서, 동두천과 포천에는 각각 1개 대대만 경비를 담당하고 있었다. 한편 북한군은 연천-동두천-의정부와 철원_포천_의정부 루트를 거쳐 서울을 조기 점령하려는 계획하에 제1군단(군단장 김웅 중장)의 2개 사단이 의정부 정면을 집중 공격할 준비를 해 두었다. 이와 같이 북한군은 처음부터 여기에 공격의 중점을 두고 병력과 화력을 집중 투입한데 반하여 국군 측에서는 아무런 대비 없이 이와 맞섬으로써 전투 초기의 상황이 급박하게 변해갔다. 특히 이 지역은, 연천-동두천 루트의 3번 도로와 철원-포천 루트인 43번 도로 모두가 양호한 노면에 열을 지은 듯 남북으로 뻗힌 데다, 광주산맥(대성산, 광덕산, 유명산, 운악산 등)과 감악지맥(마차산, 감악산, 노고산 등)이 종벽을 이루어, 방어하는 입장에서는 횡적 연계와 종심 배치에 불리한데 비하여 공격하는 입장은 기계화 부대의 운영과 공격 돌입이 용이하였다. 발발 당일, 북한군 제3사단(사단장 리영호 소장)은 포천 정면에 배치되어 영내에 대기하고 있던 한국군 제9연대(연대장 윤춘근 중령)를 공격하기 시작하였다. 경계임무 중이던 제9연대 제2대대(대대장 전순기 소령)는 북한군의 포격에 후퇴할 수 밖에 없었다. 제2대대장의 전황 보고를 받은 제9연대장(윤춘근)은 의정부읍내에 대기 중이던 제1·3대대로 하여금 포천 신북면 만세교 부근에서 진지를 구축하게 하고 방어전을 펼쳐 북한군은 잠시 주춤했으나, 북한군 제3사단 제7·9연대는 43번 도로를 따라 남침을 계속했다. 이에, 제9연대 제1·3대대는 끝내 흩어지고 다음날인 26일 의정부 등에서 집결했다. 한편, 수도경비사령부 예하의 제3연대(연대장 이상근 중령)가 포천에 급파되어 소흘읍 송우리 부근에서 방어전을 펼쳤으나 이 역시 북한의 기계화부대에 밀려서 소흘읍 이동교리 축석령으로 후퇴를 거듭했다.(이상, 6월 25일의 포천 전투) 한편, 북한군 제4사단(사단장 리권무 소장)은 동두천 북쪽의 연천 전곡 등지에 포격을 가한 뒤, 3번 국도를 따라 동두천으로 밀고 내려왔다. 동두천의 사수에 나선 제1연대는 소요산 등지에서 진지를 구축하고 지연전을 펼쳤으나 끝내 동두천은 함락되었다.(이상, 6월 25일의 동두천 전투) 이렇게, 개전 첫날 제7사단이 포천과 동두천 지역의 서전에서 패함으로써, 그 남쪽에 있는 의정부가 급박한 상황이 되었다. 수도 서울의 관문과도 같은 의정부의 전방에서는 대전으로부터 증원된 제2사단이 제7사단과 함께 북한군과 격돌하였으나 26일 오후 1시경에는 의정부를 내주고 창동지역으로 철수하게 되었다. 議政府戰役是朝鮮戰爭中發生在議政府市的一場戰役,發生在1950年6月25日,當時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正入侵大韓民國,朝鮮人民軍之目標通過三條防線:第一是在開城市、及漢城(今首爾)之間,第二是在議政府市及漢城之間,第三是在春川市,在這三條防線中,春川市的防線位處最前,但開城市至汶山邑的防線在翌日已被突破及議政府市防線亦被輕易攻破。 朝鮮人民軍陸軍進攻部隊的第3師(師長李英鎬少將)及第4師(師長李權武少將)得到一個裝甲旅(第105裝甲旅)的增援,守軍是大韓民國陸軍第7師(師長劉載興准將),朝鮮人民軍投入了蘇聯的T-34坦克,因此缺乏反裝甲火力的韓國軍雖然得到第2師的增援,但仍然未能阻止人民軍的前進,防線最終崩潰。 韓國國軍第7師被從前線撤下來及在抱川市與東豆川市之間建立新的防線,但該師未能堅守及被擊退至議政府市,大韓民國陸軍總參謀長蔡秉德命令李亨根准將的第2師及其它部隊增援,但第二天朝鮮人民軍已攻佔議政府市,之後韓國國軍在江北區建立了另外一條防線,但是在彌阿里戰役中被打敗,而經過三天之阻擊後,朝鮮人民軍陸軍攻陷漢城。 Pertempuran Uijeongbu adalah pertempuran yang terjadi di Uijeongbu selama Perang Korea. Pertempuran ini dimulai pada 25 Juni 1950, saat Korea Utara menginvasi Korea Selatan.
prov:wasDerivedFrom
wikipedia-en:Battle_of_Uijeongbu_(1950)?oldid=1106496533&ns=0
dbo:wikiPageLength
2703
dbo:result
North Korean victory
dbo:isPartOfMilitaryConflict
dbr:Korean_War
foaf:isPrimaryTopicOf
wikipedia-en:Battle_of_Uijeongbu_(1950)
Subject Item
dbr:2nd_Quick_Response_Division_(South_Korea)
dbo:wikiPageWikiLink
dbr:Battle_of_Uijeongbu_(1950)
dbo:battle
dbr:Battle_of_Uijeongbu_(1950)
Subject Item
dbr:7th_Infantry_Division_(South_Korea)
dbo:wikiPageWikiLink
dbr:Battle_of_Uijeongbu_(1950)
Subject Item
dbr:Battle_of_Uijeongbu
dbo:wikiPageWikiLink
dbr:Battle_of_Uijeongbu_(1950)
dbo:wikiPageRedirects
dbr:Battle_of_Uijeongbu_(1950)
Subject Item
dbr:Battle_of_uijeongbu
dbo:wikiPageWikiLink
dbr:Battle_of_Uijeongbu_(1950)
dbo:wikiPageRedirects
dbr:Battle_of_Uijeongbu_(1950)
Subject Item
wikipedia-en:Battle_of_Uijeongbu_(1950)
foaf:primaryTopic
dbr:Battle_of_Uijeongbu_(19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