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Tietäjä     Goto   Sponge   NotDistinct   Permalink

An Entity of Type : yago:Whole100003553, within Data Space : dbpedia.org associated with source document(s)
QRcode icon
http://dbpedia.org/describe/?url=http%3A%2F%2Fdbpedia.org%2Fresource%2FTietäjä

Tietäjä (pl. tietäjät, 'seer', 'wise man', literally 'knower') is a magically powerful figure in traditional Finno-Karelian culture, whose supernatural powers arise from his great knowledge.

AttributesValues
rdf:type
rdfs:label
  • Tietäjä (ca)
  • 티에태얘 (ko)
  • Tietäjä (en)
rdfs:comment
  • Tietäjä (pl. tietäjät, 'seer', 'wise man', literally 'knower') is a magically powerful figure in traditional Finno-Karelian culture, whose supernatural powers arise from his great knowledge. (en)
  • 티에태얘(핀란드어: tietäjä)란 핀란드어로 "아는 자(knower)"라는 뜻이다. 핀란드 이교에서, 방대한 지식에서 비롯되는 초자연적 능력을 가진 존재들을 말한다. 이들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근래인 2000년대에야 , 등에 의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질병치유와 예방이 티에태얘의 가장 중요한 역할이었지만, 그 외에도 농사, 어로, 수렵을 돕는 것 역시 그들의 역할이었다. 삿된 마술을 처리하고, 탐탁한 결혼을 승인하며 탐탁치 않은 연락은 방해했다. 도둑놈을 감별해냈고, 항해나 건축 같은 고비용 모험에 성공을 축복했다. 그들의 주술은 다른 존재의 힘을 빌어 행하는 것인데, 그 다른 존재는 망자의 넋, 동물의 정령, , 우코, 심지어 예수 그리스도나 성모 마리아도 될 수 있었다. (ko)
foaf:depiction
  • http://commons.wikimedia.org/wiki/Special:FilePath/Ekman_Vainamoinen.jpg
dcterms:subject
Wikipage page ID
Wikipage revision ID
Link from a Wikipage to another Wikipage
sameAs
dbp:wikiPageUsesTemplate
thumbnail
has abstract
  • Tietäjä (pl. tietäjät, 'seer', 'wise man', literally 'knower') is a magically powerful figure in traditional Finno-Karelian culture, whose supernatural powers arise from his great knowledge. (en)
  • 티에태얘(핀란드어: tietäjä)란 핀란드어로 "아는 자(knower)"라는 뜻이다. 핀란드 이교에서, 방대한 지식에서 비롯되는 초자연적 능력을 가진 존재들을 말한다. 이들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근래인 2000년대에야 , 등에 의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질병치유와 예방이 티에태얘의 가장 중요한 역할이었지만, 그 외에도 농사, 어로, 수렵을 돕는 것 역시 그들의 역할이었다. 삿된 마술을 처리하고, 탐탁한 결혼을 승인하며 탐탁치 않은 연락은 방해했다. 도둑놈을 감별해냈고, 항해나 건축 같은 고비용 모험에 성공을 축복했다. 그들의 주술은 다른 존재의 힘을 빌어 행하는 것인데, 그 다른 존재는 망자의 넋, 동물의 정령, , 우코, 심지어 예수 그리스도나 성모 마리아도 될 수 있었다. 티에태얘들을 칼레발라 같은 시, 신화, 주문, 치유술 등을 외워 알고 있었다. 선술했듯 티에태얘의 가장 중요한 지식은 자연현상에 대한 적 지식이었는데 이것을 라고 한다. 옛 핀인들은 어떤 존재나 현상은 그 원인을 안다면 통제할 수 있다고 믿었다. 예컨대 질병의 쉰튀를 알아서 그것을 암송하거나 노래하여 병을 이겨낸다는 식이다. 이런 지식들은 엄중히 보호되었다. 티에태얘들은 일종의 우주적 평형을 수호하는 존재로 여겨졌다. 우주의 삼라만상은 각자 있어야 할 자리가 있는데, 그 마땅한 자리를 벗어나면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고 치유사로서 티에태얘의 역할은 그 자리를 벗어난 것을 마땅한 자리로 돌려놓는 것이다. 그 과정에서 주문이나 마도구, 마법적 물질 따위를 사용했다. 그래서 티에태얘의 활동은 보통 샤머니즘과 비교된다. (ko)
gold:hypernym
prov:wasDerivedFrom
page length (characters) of wiki page
foaf:isPrimaryTopicOf
is Link from a Wikipage to another Wikipage of
is Wikipage redirect of
is foaf:primaryTopic of
Faceted Search & Find service v1.17_git139 as of Feb 29 2024


Alternative Linked Data Documents: ODE     Content Formats:   [cxml] [csv]     RDF   [text] [turtle] [ld+json] [rdf+json] [rdf+xml]     ODATA   [atom+xml] [odata+json]     Microdata   [microdata+json] [html]    About   
This material is Open Knowledge   W3C Semantic Web Technology [RDF Data] Valid XHTML + RDFa
OpenLink Virtuoso version 08.03.3330 as of Mar 19 2024, on Linux (x86_64-generic-linux-glibc212), Single-Server Edition (62 GB total memory, 56 GB memory in use)
Data on this page belongs to its respective rights holders.
Virtuoso Faceted Browser Copyright © 2009-2024 OpenLink Software